사이언스 일반

[와우! 과학] 2억 6000만년 전 독을 가진 포유류의 조상

작성 2017.02.18 17:46 ㅣ 수정 2017.02.18 17:46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유챔버사이의 복원도. 출처: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독을 이용하는 것은 생물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생존 전략이다. 자신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먹이를 잡을 때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물론 독을 만드는 것은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드는 일이다. 독을 생산하는 것은 물론 독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어 수단도 같이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장단점 때문에 모든 생물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독을 품지 않는다. 날카로운 발톱과 큰 이빨처럼 독 역시 선택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일 뿐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포유류의 경우 독니나 독침을 지닌 종류가 드물다는 것이다. 알을 낳는 원시적인 포유류인 오리너구리 같은 예외가 있기는 상당히 드물다. 반면 뱀은 진화 초기부터 독니를 지녔다는 증거가 있다. 우리의 상식으로 봐도 독을 지닌 포유류보다는 파충류나 양서류가 더 친숙하다.

그런데 최근 이 상식을 깨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견된 수궁류(therapsid, 포유류의 오랜 조상 그룹)의 일종인 유챔버시아(Euchambersia)의 화석에서 독니와 독샘의 증거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독 자체는 화석상의 흔적으로 남지 않아 그 존재를 증명하기 어렵다. 대신 독샘이 있던 장소와 독을 주입하기 위한 구조물은 화석으로 남을 수 있다.

이를 연구한 윗워터스랜드 대학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의 과학자들은 유챔버시아의 두개골 및 이빨 화석에서 독샘으로 추정되는 송곳니 뒤의 공간과 독이 흘러들어 갔던 것으로 보이는 통로와 홈을 발견했다. 비록 현대의 뱀과는 달리 독니에서 바로 독이 주입되는 방식이 아니라 독니의 흠을 타고 주입되는 방식이지만, 먹이를 마비시키는 데는 충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발견은 초기 포유류의 진화가 생각보다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독니가 항상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자나 치타 같은 고양이과 맹수에게 중요한 것은 독니보다 빠른 속도로 달아나는 초식 동물을 쫓을 수 있는 빠른 발과 순발력이다. 일단 먹이를 잡으면 독니 없이도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사자는 독니보다는 다리 근육이나 이빨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유챔버시아 역시 독니를 괜히 만든 것은 아닐 것이다.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2억6천 만 년 전에도 생물은 살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그에 맞는 몸을 가지고 있었다. 독니 역시 당시를 살아가는 지혜였을 것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女26명 살해하고 돼지먹이로 준 ‘최악의 연쇄 살인마’, 가
  • “다른 놈 만났지?”…아내 참수한 뒤 시신 일부 들고 돌아다
  • 신화 속 ‘용’ 실존?…2억 4000만년 전 ‘똑 닮은’ 화
  • 사방에 널린 시신들…사령관 방문 기다리던 러軍 65명, 한꺼
  • 우크라 조종사, F-16 전투기에 “아이폰 같다” 평가…이유
  • “나 아직 안죽었다”…보이저 1호 240억㎞ 거리서 ‘통신’
  • 나홀로 사냥…단 2분만에 백상아리 간만 쏙 빼먹는 범고래
  • 러,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 알고보니 ‘종이 호랑이’?
  • 정체불명 ‘금속기둥’ 모노리스, 웨일스 언덕서 발견
  • 죄수 출신 바그너 용병들, 사면 후 고향 오자마자 또 성범죄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