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랜즈카운티 세브링에 사는 제이콥 패슬리는 얼마 전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서 할머니 한 분을 보게 됐다. 백발이 성성한 할머니는 드라이브 스루 4번 구역임을 알리는 표지판 앞에 서 있었다. 표지판에는 구역 번호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고 진입하라는 안내가 적혀 있었다.
그런데 웬일인지 할머니는 한참을 서서 표지판에 부착된 모바일 기기 모양의 스티커를 손가락으로 밀어댔다. 표지판을 터치스크린으로 착각한 탓이었다. 드라이브 스루 매장의 주문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 할머니는 한참을 그렇게 손가락으로 표지판을 누르다 결국 주문에 실패하고 돌아갔다.
햄버거 하나 사 먹지 못하고 그대로 발걸음을 돌린 미국 할머니의 사례는 우리나라 노인 세대의 현실과도 비슷하다.
올해 초 우리나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패스트푸드점의 키오스크(무인 주문 시스템)를 조작하지 못해 발을 동동거리던 할머니를 봤다는 대학생의 사연이 올라왔다. 해당 학생은 키오스크 앞에서 어쩔 줄을 모르는 할머니를 보고 주문을 도와드렸다면서 “세상이 편해지는 것은 좋은 현상이지만, 누군가는 소외되다 보니 모두가 편할 수는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무인 자동화 기술에 적응하지 못한 노인들은 이제 은행 업무는 물론 기차나 고속버스 등 교통편의 승차권 구입과 카페, 식당에서의 주문 단계에서부터 장벽에 부딪히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18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63.1%로 장애인과 저소득층, 농어민 등 다른 취약계층과 비교해 가장 열악했다. 스마트폰 보급 및 애플리케이션 활성화와 함께 젊은층의 편리함은 배가 됐지만 ‘디지털 문맹’으로 전락한 노인 세대의 고충은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는 관련 고충이 더욱 심화했다. 마스크 재고를 모바일 기기로 확인하는 젊은층과 달리 일일이 발품을 팔아 헛걸음을 하기도 일쑤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소외를 해결하려면 세대 간 연결도 필요하다”면서 “청년 세대와 노인 세대가 만나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