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에서 본 일출 포착
박종익 기자
입력 2025 03 04 12:58
수정 2025 03 04 12:58

블루 고스트가 3일 달 표면에서 촬영한 일출 모습. Firefly Aerospace
지난 2일(현지시간) 달 착륙에 성공한 미국 민간 달 탐사선 ‘블루 고스트’가 처음으로 일출을 촬영했다. 미국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이하 파이어플라이)는 3일 달 표면에서 촬영한 해뜨는 사진을 소셜미디어 ‘엑스’에 공개했다.
어둡고 울퉁불퉁한 달 표면을 배경으로 강렬하게 떠오른 태양 모습이 인상적인 이 사진은 하루의 시작이자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상징처럼 보인다. 이에 대해 파이어플라이는 “블루 고스트가 달에서 첫 일출을 포착해 달의 하루와 표면 작업이 시작됨을 알렸다”고 밝혔다.

1월 15일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된 블루 고스트. 로이터 연합뉴스
앞서 1월 15일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블루 고스트는 약 38만 4400㎞를 날아 지난달 13일 달 궤도에 진입했다. 특히 2일 블루 고스트는 당초 목표대로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는데 민간 기업으로서는 역사상 두 번째다. 파이어플라이의 한국계 최고경영자(CEO) 제이슨 김은 “(달에) 착륙했을 때를 포함해 모든 것 하나하나가 시계 장치처럼 정확했다. 우리는 달 흙먼지를 부츠에 묻혔다”며 성공을 자축했다.

블루 고스트가 달 궤도 비행 중 촬영한 영상의 일부. Firefly Aerospace
블루 고스트의 임무는 달 구성, 지질 특성, 열 흐름, 날씨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중 레골리스(regolith)의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달의 미세한 먼지인 레골리스는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먼지나 모래, 흙이 아니라 사실 운석 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만들어진 미세한 암석 조각이다. 이에 레골리스는 기계와 인체에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향후 인류가 달에 유인기지를 건설할 때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달 표면에 착륙해 그림자를 드리운 모습 . Firefly Aerospace
한편 미 항공우주국(NASA)은 저렴한 비용으로 달 탐사를 하기 위해 2018년부터 민간 14개 업체와 협력해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을 운영 중인데 블루 고스트가 그 사례 중 하나다. 파이어플라이는 NASA와 함께 달 착륙선을 발사한 세 번째 민간기업이다.
박종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