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보다

어린 시절 어미 잃은 침팬지, 후유증 ‘평생’ 간다

작성 2015.11.11 11:26 ㅣ 수정 2015.11.12 15:33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어린 시절 가까운 가족을 잃는 경험은 개인의 인생에 장기적이고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이 인간뿐만 아니라 침팬지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교와 비엔나 대학교 과학자들, 그리고 네덜란드 출신 과학자들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어린 시절 부모를 잃은 아프리카 대륙 출신의 침팬지들을 연구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1950~1980년대, 서아프리카에서는 수천 마리의 새끼 침팬지들이 포획돼 유럽, 일본, 미국 등지로 수출됐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생체의학 연구 등에 활용됐으며 동물원으로 향하게 된 침팬지도 다수 있었다.

이러한 침팬지들은 어린 시절 심대한 정신적 외상을 입을 만한 경험을 하게 된다. 어미의 보살핌을 갑자기 박탈당한 것은 물론, 대부분은 어미의 죽음을 직접 목격했을 가능성이 높다.

본래 야생 침팬지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사회적 교류를 배워 나간다. 새끼 침팬지 시절에는 어미와의 강한 유대관계를 통해 사회생활을 배운다. 생후 2년 정도는 어미가 새끼를 늘 데리고 다니며 4~6세가 될 때까지도 어미의 보살핌은 계속된다. 다 자란 침팬지들은 다른 동료들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생활을 확장해 나간다.

연구팀은 그러나 아프리카에서 2살이 되기 전 부모를 잃었던 새끼 침팬지들의 경우 수십 년이 지나 성체가 된 이후에도 동료들과 원활한 교류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침팬지들은 다른 침팬지들과의 ‘털 고르기’를 망설이는 모습을 보이는데, 침팬지 사회에서 털 고르기는 서로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

그라츠 대학 엘프리데 칼히어-소마스구타는 “고아였던 침팬지들은 털 고르기를 함께하는 동료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적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털 고르기 활동에 있어 열성이 덜 하다는 점도 관찰됐다.

이 현상은 고아가 된 이후 연구실로 보내져 오랜 시간 홀로 생활한 침팬지뿐만 아니라 다른 침팬지 무리에 편입돼 자라온 침팬지들에게서도 여전히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연구팀은 말한다.

비엔나 대학교의 요르그 마센은 “고아가 된 직후 40년 동안 무리생활을 해 온 침팬지들마저 사회적 교류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는 어린 나이에 어미를 잃는 사건이 침팬지들의 인생에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지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포기란 없다”…비트코인 ‘7600억원 어치’ 실수로 버린
  • 지옥문 열렸나…이란 미사일에 불바다 된 이스라엘 하늘
  • 기적이 일어났다…엄마가 생매장한 신생아, 6시간 만에 구조돼
  • 딸에게 몹쓸짓으로 임신까지...인면수심 남성들에 징역 20년
  • “남편에게 성적 매력 어필해야”…‘12세 소녀-63세 남성’
  • 우크라 드론에 완전히 뚫린 러시아 본토… “자체 생산 드론,
  • 러시아, 발트해 앞마당도 뚫렸다…우크라의 러 함정 타격 성공
  • 이란의 ‘놀라운’ 미사일 수준…“절반은 국경도 못 넘었다”
  • ‘남성들과 선정적 댄스’ 영상 유출, 왕관 빼앗긴 미인대회
  • 이스라엘 안쪽으로 500m 가로질러…하마스 침투 터널 파괴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