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혈동물로 진화한 고대 악어 첫 발견

오늘날 악어의 조상 중에는 온혈동물로 진화한 개체도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에든버러대 고생물학 연구진이 메트리오린쿠스과에 속하는 고대 악어의 치아 화석을 가지고 광물 구성을 분석한 결과 적어도 한 종이 냉혈동물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악어 종이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체온이 떨어질 때 오늘날 포유류나 조류처럼 체온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런 특징은 이 종이 쥐라기 말기인 약 1억5000만 년 전 지구가 한랭화하는 동안 번성하는 데 도움을 줬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메트리오린쿠스과에 속하는 한 고대 악어의 화석 골격 모습.(사진=스벤 작스/독일 빌레펠트 자연사박물관)

▲ 메트리오린쿠스과에 속하는 한 고대 악어의 복원 이미지.(사진=드미트리 보그다노프/위키미디어 커먼스)

이 종이 온혈동물이 된 것은 오늘날 돌고래와 고래의 몸처럼 사지와 꼬리가 지느러미 형태로 진화해 바깥 바다로 진출할 수 있었던 열쇠였다.

반면 오늘날 악어는 냉혈동물이므로, 스스로 열을 발생할 수 없어 기온이 떨어지면 휴면이나 동면에 들어가야 한다.

이에 대해 연구저자인 마크 영 박사는 “이번 발견은 우리가 이 기묘한 악어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들 악어는 오늘날 긴 코 악어와 비슷하게 생긴 개체이지만, 지느러미발과 꼬리지느러미 그리고 정면을 향한 큰 눈을 지닌 동물로 빠르게 변화했다”면서 “육지에서 바다로 거주지를 바꾼 것은 수백만 년 전 돌고래와 고래가 겪은 잘 알려진 진화 형태와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치아 화석 에나멜의 산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이 종이 냉혈동물인지 아니면 온혈동물인지를 구별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그 농도는 체온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이 종은 열을 발생하기 위해 신진대사를 활용함으로써 체온을 주변 환경보다 더 높게 올릴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종은 다른 대다수 온혈동물보다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는 덜 효율적이었지만, 적응력은 당시 기온이 떨어졌을 때 생존에 도움이 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달리 근연종으로 냉혈동물인 텔레오사우루스과(科)에 속하는 악어들은 환경 적응에 애를 써 결국 살아남을 수 있었다. 이는 이들 종이 오늘날 악어들과 같은 방식으로 양지에서 일광욕하며 체온을 유지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 종은 해수 온도가 떨어졌을 때 체온 유지를 위해 애를 썼을지도 모른다. 이는 이 시기에 왜 그렇게 많은 동물이 멸종했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最古)의 생물학 저널인 영국 ‘왕립학회 자연과학 회보 B’(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