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설물 탓에 죽음…집단폐사한 고대 나무늘보 화석 발견(사진=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박물관)

남미 국가인 에콰도르에서 특이한 사례로 집단 폐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나무늘보의 화석이 대거 발견됐다.

최근 라이브사이언스 등 과학매체에 따르면, 이들 고대 나무늘보의 화석은 탕크 로마라고 불리는 한 발굴지에서 함께 나왔다.

▲ 고대 나무늘보 골격 구조(사진=고지리, 고기후, 고생태학)

땅늘보(학명 Eremotherium laurillardi)라고 불리는 이들은 플라이스토세 후기(약 260만 년 전부터 1만1700년 전 사이)에 살았다. 이 시기는 혹독한 기후 변화로 많은 포유류가 멸종한 마지막 빙하기였지만 이번에 화석으로 나온 고대 나무늘보들의 집단 사인은 그런 원인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에콰도르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는 고대 나무늘보가 자신들의 배설물 탓에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 나무늘보는 오늘날 나무늘보와 달리 몸길이 3~8m, 몸무게 3t에 달하는 거구였기에 나무 위가 아니라 땅 위에서 살았다.

이들은 3500만 년 전 남미에 출현해 마지막 빙하기에 이르러 다른 대형 포유류와 함께 멸종했다. 일부 전문가는 대형 포유류의 멸종이 초기 인류의 수렵이 원인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또다른 전문가들은 빙하기 기후가 원인이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 종 전체의 멸종 이유는 이와 같은 두 가설이 유력하다. 그런데 이번에 나온 고대 나무늘보들이 죽은 이유는 이런 이론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 에콰도르 탕크 로마에서 발굴 작업 중에 있는 고대 나무늘보 화석 조각의 모습.(사진=고지리, 고기후, 고생태학)

발굴 조사에서는 총 575개의 뼛조각이 발견됐고 그중 유년기부터 성년기까지 총 22마리의 나무늘보가 죽어 섞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의 서식 연대는 2만3000년 전부터 1만8000년 전 사이로 한 무리에서 생활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 연구에서는 화석이 된 뼈 주변의 토양과 식물에 대해서도 조사했다.(사진=고지리, 고기후, 고생태학)

또 이 연구에서는 화석이 된 뼈 주변의 토양과 식물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그 결과 해당 지역은 한때 식물이 번성한 습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화석화한 식물에는 이들 나무늘보가 씹던 것으로 보이는 자국이나 소화된 흔적도 남아있다.

그런데 이 중에서도 연구자들이 가장 주목한 부분은 식물과 토양에 나무늘보의 배설물이 잔뜩 포함돼 있던 것이었다. 이는 이들 포유류가 습지를 배설 장소로도 썼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고대 나무늘보는 오늘날 하마처럼 습지에 들어갔을 것”이라면서 “하마는 벌레를 막고 더위를 식히려는 방법으로 진흙 속에 몸을 담그는 행동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하마는 진흙탕 속에서도 배변 활동을 해서 그곳은 대변으로 가득 찰 수 있다. 따라서 대변으로 오염된 식물이나 흙탕물이 입으로 들어가 병에 걸리는 사례가 오늘날에도 보고되고 있다.

아마 고대 나무늘보들 역시 이와 같은 운명을 걸었을지도 모른다. 대변에 들어있는 병균 탓에 집단 폐사라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는 것이다. 어쩌면 오늘날 나무늘보보다 크고 먹는 양이 많아진 것도 이런 비극의 계기가 됐을지도 모른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고지리, 고기후, 고생태학’(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최신호(4월 15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