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교통사고로 코마 판정을 받은 롬 하우벤은 23년 동안 생명 유지 장치를 하고 침대에 누워 있었다. 그러나 그는 교통사고로 인한 전신마비 였을 뿐, 23년 내내 의식이 있었으며 병실을 찾은 의사, 간호사, 가족의 모든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하우벤은 깨어있다고 비명을 질렀지만 아무도 알아듣지 못했다.
하우벤은 “가끔 의사와 간호사들이 들어와서 ‘희망이 없어’ 라고 하는 이야기도 들었지만 절대 삶을 포기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고 이후 아들의 병상을 지킨 것은 그의 어머니 조세핀과 아버지였다. 부모들은 항상 아들이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이 하는 말들을 이해 한다고 믿었다. 부모가 질문을 하면 하우벤은 눈동자로 반응해 어머니는 아들의 의식이 있음을 알렸지만 담당의사는 신경학적인 반응이거나 우연의 일치라는 말로 설명했다.
특히 1997년 같이 병간호를 하던 아버지가 사망하던 날 하우벤은 눈을 지그시 감았다. 어머니 조세핀은 아들이 눈물을 흘릴 수는 없지만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한다고 믿었다.
나중에 아들과의 대화가 가능하기 시작한 후 아들은 “그날 엄마를 위해 아무것도 해줄 수가 없어서 너무 미안했어요.” 라는 말을 전했다.
2006년 하우벤 나이가 46세가 되던 해, 의식이 있음을 더욱 확신한 어머니는 신경전문학의 권위자인 벨기에 리에주대학교 스티븐 로이스 박사에게 재확인을 부탁했다.
스티븐 로이스 박사는 첨단 장비로 하우벤의 뇌를 다시 스캔했고 놀랍게도 뇌 활동이 정상 적임을 확인했다.
그로부터 하우벤은 3년 동안 재활치료를 통해 컴퓨터를 통한 대화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가 처음 적은 문장은 “내 이름은 롬입니다. 나는 죽지 않았습니다.” 였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해외통신원 김형태 tvbodaga@hanmail.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