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현지시간) 미국 디스커버리 채널은 홍콩과학기술대 연구팀의 발표를 인용해 단일광자가 빛의 속도를 능가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속에 등장하는 타임머신은 허구의 장치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팀은 “단일광자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은 없다)을 재확인했다.”라고 주장했다. 빛의 최소단위인 단일광자가 빛의 속도를 능가할 수 없다는 기존의 ‘우주의 교통법규’를 따른다는 이론을 증명했다는 것.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단일광자 역시 단지 기존의 전자기(EM)파처럼 그 이론을 따르는 것을 입증한다.”고 밝혔다.
물리학계는 10여년 전부터 시간여행에 대한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특수한 매질에서 빛보다 더 빠른 현상인 이른바 ‘초광속’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타임머신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점쳤다.
이번 연구는 단일광자의 최고속도를 측정해 결과적으로 시간여행에 대한 논쟁을 끝내게 됐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연구팀을 이끈 두 성왕 조교수는 “상대속도 한계 C를 따르는 단일광자를 보여준 이번 연구가 ‘결과는 원인 전에 발생할 수 없다’는 진리를 확인한 것”이라고 주장한 뒤 “이번 결과가 과학자들에 양자 정보의 전송에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기대감을 표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물리분야 세계적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다.
사진=디스커버리 뉴스
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