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 토마스 스펙 박사가 이끈 연구진은 끈끈이주걱의 일종인 ‘드로세라 글란둘리게라’(Drosera glanduligera)가 먹이를 잡는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를 지난달 26일(현지시각) 미국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 저널을 통해 발표했다.
끈끈이주걱은 먹이를 잡아 소화시킬 때 두 가지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데, 흔히 끈끈한 잎사귀를 통해 먹이를 잡는 종과 촉수에 걸린 먹이를 다시 몸의 중심부 쪽으로 던져 넣어 소화시키는 종이 있다.
연구진은 이 중 두 번째 종인 드로세라 글란둘리게라를 관찰하기 위해 고속 카메라를 사용했다.
그 결과, 이 희귀 식물은 자신의 촉수에 걸린 먹이를 순식간에 몸의 중심부로 던져넣는 모습을 보여 연구진을 놀라게 했다.
이에 대해 스펙 박사는 “이 투석기와 같은 방식은 매우 효과적이며 함정에 빠진 먹이는 거의 빠져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이 식물의 촉수는 먹이를 무려 400밀리세컨드(ms)의 속도로 던져넣는다고 한다.
식물은 근육이 없지만 이 식물은 내부 물의 움직임을 이용한 기초적인 수압 장치로 이 같은 메커니즘을 보이는 것으로 학자들은 여기고 있다.
또한 각각의 촉수는 먹이가 걸렸을 때 단 한 번만 움직일 수 있지만 한해살이 식물이라서 잎은 다시 자라난다고 한다.
사진=플로스원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