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이 사진은 5월 8일 허블 우주망원경의 광시야 카메라 3(WFC3)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촬영해 보기 쉽게 푸른색으로 착색 가공한 것이다.
아이손 혜성은 당시 지구에서 약 6억 4400km 떨어진 화성과 목성 사이를 지나고 있었다. 사진 속 눈물 모양의 혜성 꼬리는 태양열로 핵 얼음이 증발하면서 가스와 먼지를 분출해 형성된 것이다.
아이손은 오는 11월 28일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금세기 가장 밝은 혜성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한편 아이손 혜성의 이름은 지난해 9월 이를 발견한 러시아의 과학자 비탈리 네브스키가 속한 기관인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ISON)에서 유래됐다.
사진=NA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