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은 단시간에 엄청난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기상현상 중 하나로 꼽힌다. 역대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태풍 ‘루사’는 이틀간 209명의 생명을 앗아갔고, 6만 명에 가까운 주민들을 거리로 내몰았다. 피해액만 5조 1479억 원에 달했다. 가을 태풍 ‘매미’는 한반도에 머문 7시간 동안 132 명의 사상자와 5조 원에 가까운 재산 피해를 냈다.
걱정스러운 것은 2000년을 기점으로 한반도를 찾는 ‘슈퍼태풍’이 크게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태풍을 5등급으로 나눌 때 4등급 이상을 슈퍼태풍이라고 하는데, 이는 자동차를 뒤집고 대형 구조물도 부술 수 있는 위력을 가진다. 지난 100년 동안 한반도를 스친 슈퍼태풍은 대략 50개 정도인데 이중 8개가 2000년대에 발생했다. 1904년 이후 발생한 태풍 중 역대 강도가 가장 셌던 10개의 태풍 중 상위 4개를 포함한 6개가 2000년대에 발생한 태풍들이다.
왜 슈퍼태풍이 늘고 있을까?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를 주된 원인으로 지목한다.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한반도 상공의 수증기 양이 많아지면서 태풍이 발달하기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졌고, 한반도 상공에 위치한 제트기류도 약화되어 태풍발달을 방해하는 연직바람시어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6월 10월)에, 해수면온도, 연직바람시어, 대기 중 수증기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과거(1977-1988)에 비해 최근(1997-2008) 들어 한반도 주변 지역에서 해수면온도는 증가, 연직바람시어는 감소, 대기 중 수증기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태풍은 강력해지고 있지만 피해는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1979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를 찾은 51개 태풍을 분석한 서울대학교 기후물리학실험실의 연구에서 동일 강도의 태풍이 상륙했을 때 인명 및 재산 피해는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풍 예측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방재 인프라 발달이 그 이유로 분석된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예측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했을 때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피해를 입힐지는 누구도 정확히 예측해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 허창회 교수는 “태풍 피해는 감소하고 있지만, 슈퍼 태풍의 발생 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면서 “슈퍼태풍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가올 슈퍼태풍의 피해를 사전에 정량적으로 영향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대책을 세우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태풍 영향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환경부(기후변화대응 환경사업개발사업)는 태풍의 강풍 및 호우 강도를 지수화하고 이 지수와 실제 인명 및 재산 피해와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태풍 피해가 과거에 어떻게 변화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태풍 피해는 태풍의 상륙 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움직임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응 대책을 세울 때 우리는 재원의 한계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러한 최소비용문제의 고려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태풍의 강도에 따른 피해의 정량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05년 지역 경제 발전에 더 비중을 두고 태풍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하여 태풍 ‘카트리나’에 의해 재산피해만 천억 달러이상 초래된 미국의 경우나, 2013년 현재 태풍 ‘하이옌’에 의해 만여명이 넘는 인명피해를 입은 필리핀의 경우를 보아도 슈퍼태풍에 대한 대응체계 마련이 얼마나 시급한 것인지 알 수 있다.
태풍은 막을 수 없지만 피해는 막을 수 있다. 체계화된 태풍 영향평가 기준 마련과 함께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강화해나간다면 ‘루사’, ‘카트리나’, ‘하이옌’과 같은 슈퍼태풍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