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320만 년 전쯤 아프리카에 살았던 초기 인류의 손이 도구를 발명할 수는 없어도 도구를 잡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는 연구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사이언스지(誌) 온라인판 22일 자로 발표됐다.
도구의 발명을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는 약 260만 년 전으로, 200만~300만 년 전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에 서식했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 아프리카누스 원인)는 지금까지의 이론으로는 도구를 만들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영국 켄트대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이 발표한 새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누스 원인의 손은 기존과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아프리카누스 원인은 원숭이를 닮은 얼굴과 긴 팔을 가졌지만, 뇌는 크고 두 다리로 직립보행을 하고 있었다. 나무에서 내려와 생활했고 손재주가 있을 정도로 높은 운동능력을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뼈 내부에 있는 ‘섬유주’라는 해면상 구조를 새롭게 분석한 것에 근거를 둔다. 연구팀은 이런 섬유주를 분석해 아프리카누스 원인이 살았을 당시 뼈의 쓰임을 밝힐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런 해면질의 뼈는 인간과 침팬지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인간은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해 물건을 꽉 움켜잡을 수 있지만, 침팬지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은 이런 점에서 현생인류의 손과 상당히 비슷했다. 이들은 도구를 사용하거나 동굴벽화를 그리는 등 손재주가 있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누스 원인 역시 “인간과 유사하게 엄지손가락 뼈와 손바닥 뼈를 통해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과 강력한 대립 운동을 했음을 나타내는 해면질의 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립 운동은 “일반적으로 도구를 사용할 때 쓰인다”고 성명을 통해 밝히고 있다.
또 이들은 “이번 결과는 기존에 발표된 원인의 석기 사용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를 뒷받침하며 초기 인류가 인간과 닮은 손의 형태를 기존 이론보다 훨씬 전부터 더 자주 사용하고 있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영국 캔트대 외에도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오스트리아 빈 공과대도 참여했다.
사진=ⓒAFPBBNEWS=NEWS1(위), 사이언스지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