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폭 운전이나 보복 운전을 일삼는 운전자는 자기 자신의 위험 행동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은 난폭 및 보복 운전을 하는 경향이 큰 운전자들과 그렇지 않은 운전자들을 비교 분석해 위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최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
이는 ‘더닝 크루거 효과’(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지만, 능력이 없으므로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라는 일종의 인지 편향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토머스 브라운 교수는 “놀랍게도, 위험 운전을 하는 사람들은 평소 자신이 위험을 무릅쓰는 유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자신이 위험하다고 믿지 않아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위험 운전자 집단과 통제군의 시험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이때 위험 운전자 집단은 음주 운전 단속에 걸린 경험이 수차례 있는 사람들과 음주 운전은 하지 않았지만 속도위반으로 수차례 단속된 사람들, 그리고 두 가지 교통 법규를 모두 수차례 위반한 사람들로, 이는 과거 약물 사용 경험이나 운전 및 범죄 경력에 관한 질문을 통해 분류한 것이다.
또 연구팀은 이들 참가자를 대상으로 컴퓨터를 사용한 모의실험도 진행했다.
그 결과, 위험 운전을 하기 쉬운 운전자 그룹은 통제군보다 속도를 내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 운전 집단 중 속도 위반 그룹과 혼합 그룹은 자극을 추구하는 유형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뿐만 아니라 세 위험 운전 집단은 모두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량이 늘어나는 코르티솔 반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자극을 추구하는 유형의 행동은 뇌의 쾌감 중추인 측좌핵이 자극돼 도파민을 분비하는 것으로 항상 쾌락을 얻으려는 성향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즉, 뇌가 위험 운전을 자기 자신에게 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들을 난폭 및 보복 운전으로 이끄는 것일까.
이에 앞서 ‘트랜스포테이션 리서치 파트F’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결과는 그 원인을 제시한다.
모나쉬대학의 어맨다 스티븐스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13개월에 걸쳐 ‘로드 레이지’(난폭 및 보복 운전)를 포함한 트위터 게시물 8만1000건을 분석하고 무엇이 사람들을 자극해 분노하게 하는지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같은 도로에 있는 운전자들에게 불만이 있으며 이를 알리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조사에서 운전자들을 가장 화나게 만드는 원인은 ‘끼어들기’와 같은 것이 아니라 다른 차량의 속도에 관한 것이었다.
전체 트윗 중 거의 절반이 속도가 느린 차량의 운전자를 비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잘못된 차선 사용이나 서툰 합류 방법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또 운전자들은 이런 비난을 유발한 다른 차량의 운전자를 같은 도로에서 운전할 가치가 없다고 경멸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