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우주에 인류 외에 다른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모두 어디에 있는 것일까.”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던 이탈리아의 천재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가 1950년 동료 과학자들에게 한 ‘페르미 역설’로 유명한 이 같은 질문은 여전히 현대 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과제 중 하나다.
과학 기술이 발달했지만 인류는 여전히 페르미 역설에 이렇다 할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역시 인류는 혼자일까? 이를 부정할 수 있는 대답의 하나로, 페르미 역설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동물원 가설’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지구가 외계의 지적 생명체들이 봤을 때 동물원과 같이 관찰하는 대상에 불과해 직접적인 접촉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다는 가설이다.
하지만 이 같은 가설이 유효하려면 하나의 명확한 전제가 필요하다.
지구가 존재하는 은하계에 사는 우주인들 사이에 은하계인 커뮤니티가 존재해 각각의 외계 문명이 인류에 간섭하지 않는 것을 서로 약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국 세인트 앤드류스대의 우주물리학자 던컨 포건 박사가 최근 미국 코넬대 도서관이 운영하는 물리학 논문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한 논문에는 은하계인 커뮤니티의 존재 가능성과 이를 상세하게 검토한 내용이 담겨 있다.
던컨 포건 박사는 하나의 문명이 행성 간 통신을 실현하기까지의 기간과 각 문명의 거리, 문명의 수명 등 수많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증했다.
은하계에 외계 문명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하나의 은하계 집단(a Galactic Club) 대신 여러 전략으로 행성 간 동맹이 난립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그는 결론짓고 있다.
포건 박사는 “만일 단 하나의 집단(a Galactic Club)이 존재한다면 각각의 문명이 엄청나게 장수하지 않으면 성립하지 않고 문명 사이의 거리도 상대적으로 짧아야만 한다”면서 “상당수의 문명이 단기간에 은하 중에 발생해야 가능한 시나리오라고밖에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비록 장수한 문명이 있었다고 해도 하나의 은하계 집단에 모든 문명을 가입시킬 수단도 없다고 한다.
물론 만일 모든 문명이 같은 시기에 발생해 수백만 년간 진화를 계속한다면 하나의 은하계 집단이 존재해도 이상하지 않다.
하지만 포건 박사가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하나의 조화로운 은하계 집단이 아니라 ‘서로 경쟁 상태에 있는 여러 개의 전략적 행성 간 동맹’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박사의 말로는 지구는 보수적인 동맹이 지배하는 영역에 있어 외계 문명으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어쩌면 지구는 원시적인 문명과의 접촉 금지를 철저하게 지키는 보수적 동맹이 지배하는 영역에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안정된 상태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인류가 외계 문명의 신호를 포착하는 능력을 키웠을 때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최악의 경우는 ‘접촉 금지 조약’을 무시하는 동맹이 나올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사진=ewao(위), arXiv(http://arxiv.org/abs/1608.08770)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