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째 지독한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호주에서 수 천 년 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대규모 수로(水路)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ABC뉴스 등 현지 언론의 21일 보도에 따르면 수로가 발견된 곳은 빅토리아 주 남서부에 있는 고대 유적지인 부즈 빔(Budj Bim) 유적지로, 이곳은 6600년 전 당시 해당 지역에 살던 원주민인 ‘군디츠마라’ 부족이 돌을 이용해 만든 장어 양식장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7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부즈 빔 유적지는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대규모 산불의 피해지역 중 하나로, 유적지 내부의 산림 일부가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다.
지난해 12월, 화재로 숲이 파괴되는 과정에서 수풀에 덮여있던 새로운 구조가 모습을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길이 25m에 달하는 통로가 6600년 전 토착민들이 장어 양식을 위해 물을 가두거나 이동시킬 때 이용한 수로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지역에서 수로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 아니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그 어떤 수로보다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더욱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부즈 빔이 위치한 지역의 보존을 지원하는 호주 원주민 단체는 CNN과 한 인터뷰에서 “(화재가 발생한 뒤) 우리가 이곳으로 돌아왔을 때, 풀과 나무에 가려져 있던 길 하나를 발견했다. 규모가 상당했다”면서 “당시 원주민들은 이 지역에 매우 풍부한 화산암을 이용해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발견한 수로는 영국의 스톤헨지나 이집트의 피라미드보다 훨씬 더 긴 역사를 자랑한다”고 덧붙였다.
유네스코 측은 “과거 군디츠마라 부족민들은 물길을 바꾸거나 가둠으로써 양식장 규모를 최대화 하기 위해 수로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말, 부즈 빔 국립공원 인근 지역에서 번개로 인해 시작된 산불이 공원까지 번지면서 피해가 속출했다. 당국은 세계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전담하는 소방대원 및 전문가들을 파견했다.
이들은 불길이 더는 번지지 않도록 중장비 일부를 동원해 ‘봉쇄 작전’을 펼쳤고, 다행히 해당 국립공원이 전소되는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