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밤까지 548건의 실종 신고를 접수한 몽골 긴급상황총국은 구조 인력을 급파해 밤샘 수색을 벌였다. 15일 오전 9시까지 467명은 소재가 파악됐으나, 81명은 아직 실종 상태다. 실종자 중 68명은 몽골 남부 돈드고비에서 사라졌으며, 대부분 유목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 당국은 나머지 실종자를 찾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망자도 발생했다. 보도에 따르면 돈드고비 아이막에서 유목민 5명이 숨졌으며, 우부르항가이 아이막에서는 5살 어린이가 목숨을 잃었다. 인명 피해와 더불어 유르트(몽골 유목민족의 전통 텐트)와 가옥 여러 채가 파손됐으며, 동부와 서부 지역에서는 대규모 정전이 이어졌다.
몽골 기상당국에 따르면 12일 밤부터 긍특, 후브스굴, 볼강, 헹티, 옴노고비 등 몽골 9개 지역에 초속 18~20m의 강한 모래폭풍과 눈보라가 몰아쳤다.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풍속이 초당 34m로 측정됐다. 태풍으로 치면 강도 ‘강’ 수준이다. 현장 영상에는 순식간에 불어닥친 거대 모래폭풍이 마을 전체를 뒤덮는 모습이 담겨 있다. 15일에도 시뻘건 모래가 시야를 가려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몽골 긴급상황총국 관계자는 “황사와 눈보라가 많이 발생하는 계절”이라면서 “목축민들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몽골의 모래폭풍은 국토의 사막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세계 평균 기온이 0.7도 상승하는 사이 몽골은 2.1도가 올랐다. 이로 인해 1990년대 40% 수준이던 몽골 사막은 현재 78%까지 확대됐다. 30년간 호수 1166개와 강 887개, 샘 2096개가 말라붙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사막화, 사막화로 잦아진 모래폭풍 피해는 한반도까지 다다르고 있다. 몽골에서 발생한 모래폭풍은 찬기류를 타고 남하해 15일 새벽 중국 베이징 등 북부 지역에 도달했으며, 16일 새벽에는 우리나라에 유입될 전망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