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000년 전 베수비오산에서 화산이 폭발한 뒤 인근의 고대 도시인 헤르쿨라네움은 화산재로 휩싸였다. 당시 화산폭발은 헤르쿨라네움을 1m 두께의 유독한 화산재와 가스 및 용암으로 뒤덮었고 도시는 순식간에 매몰됐다.
영국 가디언 등 해외 언론의 2일 보도에 따르면 헤르쿨라네움 보존 프로젝트 연구진은 지난 10월,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면서 묻혔던 한 남성의 유골을 헤르쿨라네움 유적지 인근 해변에서 발견했다.
연구진은 유골을 발견한 뒤, 유골의 훼손을 막고 더욱 정밀한 분석 작업을 실시하고자 특수 금속날을 이용, 유골을 덮고 있던 용암을 깎는 작업을 진행했다.
발굴작업을 이끈 프란체스코 시라노 헤르쿨라네움 고고학 원장은 “발견 당시 남성은 바다를 등지는 방향으로 누워있었고, 탄화(유기물이 열분해를 거쳐 탄소가 풍부한 물질로 변하는 반응)된 나무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발견된 남성은 40~45세로 추정되며, 발견 당시 유골은 밝은 붉은색을 띠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남성의 피가 얼룩지면서 생긴 흔적으로 보고 있다.
남성의 유골 근처에서는 가죽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방과 동전 등의 소지품도 발견됐다. 화산이 폭발했을 당시 값이 나가는 물건들을 가지고 바닷가 인근으로 도망치려다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이 남성의 유골을 분석한 결과, 섭씨 500도에 가까운 고온에 급속도로 노출되면서 화를 당한 것으로 추측했다. 당시 헤르쿨라네움을 뒤덮은 유독한 화산재와 가스 등의 온도가 500도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생물학자인 피에르파올로 페트론은 현지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고온에 갑작스럽게 노출되면서 뼈만 남을 정도로 몸이 타들어 간 것으로 보인다. 만약 당시 화산재 등의 온도가 1000도 이상이었다면 유골조차 남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굴을 이근 시라노 원장은 “화산 분출로 형성된 화쇄난류(화산가스나 수증기, 화산쇄설물이 뒤섞여 사막의 모래폭풍처럼 빠르고 격렬하게 지표면을 흘러가는 현상)가 마을에 닿은 시각은 새벽 1시였다”면서 “화쇄난류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00~400도, 일부 연구에서는 500~700도가 기록되기도 했다. 이곳의 마지막 순간은 매우 짧았지만 끔찍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 남성이 구조를 기다리다 대피하려던 시민으로 추정했지만, 시민들을 구하기 위해 투입된 군인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추가 연구를 하고 있다.
이 남성 유골의 발견은 약 2000년 전 도시의 모습을 파악하고 베수비오 화산 폭발의 영향력을 짐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됐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