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1번째 비행은 129초 간 이루어졌으며 총 비행거리는 370m다. 당초 인저뉴어티의 임무 기간은 한 달 정도에 5차례 비행이었다. 그러나 인저뉴어티는 이같은 예상과 목표를 비웃기라도 하듯 1년 가까이 총 4.6㎞ 거리의 화성 하늘을 날아올랐다.
화성탐사로보인 퍼서비어런스에 앞서 지형을 조사하는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인저뉴어티는 지난해 2월 18일 화성에 도착했다. 이어 '몸풀기'에 들어간 인저뉴어티는 지난해 4월 19일 지구 밖 행성에서는 사상 최초로 40초 동안 3m까지 상승했다가 착륙해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동체가 티슈 상자만한 인저뉴어티는 너비 1.2m, 무게는 1.8㎏으로 혹독한 화성 환경에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인저뉴어티는 지구 대기의 1% 정도로 희박한 화성 대기층에서 날 수 있도록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날개 4개가 분당 2400회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보통 헬리콥터보다 약 8배 빠른 속도다. 인저뉴어티에는 2개의 카메라와 컴퓨터, 내비게이션 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영하 90도까지 떨어지는 화성의 밤 날씨를 견디기 위해 태양열 전지도 갖추고 있다.
JPL 선임연구원 맷 골롬벡 박사는 "인저뉴어티가 퍼서비어런스가 이동할 경로를 미리 정찰해 지형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탐사에 큰 도움을 준다"면서 "경로상에 장애물을 미리 식별해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빠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인저뉴어티의 본 임무는 지구 밖 행성에서 실제로 비행이 가능한 지에 초첨이 맞춰져 있다. 이 때문에 비행 성공 자체로도 인저뉴어티는 그 임무를 100% 달성한 셈이다.
한편 인저뉴어티를 품에 안고 날아간 퍼서비어런스는 지난해 2월 18일 화성의 고대 삼각주로 추정되는 예제로 크레이터에 안착했다. 퍼서비어런스는 크게 두 가지 주요 임무를 가지고 있는데,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것과 인류 최초의 화성 샘플 반환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퍼서비어런스는 착륙 이후 4개월 간 장비와 시스템 점검을 마쳤으며 6월부터 본연의 과학 임무에 집중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