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기관지 관찰자망은 ‘넷플릭스 등 미디어를 통해 전세계에 방영된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서방 국가의 여성들이 한국을 찾고 있다’면서 ‘한국 드라마가 한국인 남성의 섬세하고 로맨틱한 허구 이미지를 만들어냈고, 그 이미지 덕분에 한국을 찾는 서방 국가 여성들의 사례가 급증한 반면 현실과의 괴리로 실망한 사례도 다수’라고 16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최근 미국 매체 CNN의 보도 내용을 인용해 ‘한국 드라마 속 한국 남성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서방 국가 여성들을 매료시켰고, 이로 인해 서구 여성들이 한국을 찾게 하는 일종의 나비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 매체는 다수의 사례에서 실제로 한국 남성을 만나 교제했던 서양 국가 여성들이 만족하지 못했으며, 실제 한국 남성은 한국 드라마가 묘사한 것처럼 완벽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는 점에 주목해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이 매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번지기 이전이었던 지난 2019년 기준, 약 1천만 명의 외국인 여성들이 한국을 방문한 반면 외국인 남성의 한국 방문 건수는 단 670만 명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지난 2005년 약 230만 명의 외국인 여성이 한국을 찾았으며, 같은 해 290만 명의 외국인 남성들이 한국을 방문했던 것과 크게 달라진 분위기라는 것.
이 같은 현상에 대해 한국 드라마 속 한국인 남성들의 섬세하고 남성적인 이미지가 외국인 여성들에게 한국을 찾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는 25세 영국 국적의 여성 S씨의 사례를 들었다.
한국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시청한 뒤 지난해 한국을 방문했다고 자신을 소개한 이 여성은 “한국 남성들은 신사처럼 예의가 바르고 매력적이며 동화 속의 기사도 정신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면서 “한국 남성들이 옷차림 등 외모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외국인 여성들이 느끼는 한국 남성의 매력을 배가 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고 했다.
S씨는 이어 “영국에서는 (내가)그저 평범한 사람이었지만 한국에 왔더니 달랐다”면서 “한국에서는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각별히 더 신경 써주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스스로 특별한 사람이 된 것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지난해 부산을 찾았다는 모로코 출신의 20세 여성 M씨 역시 한류 문화를 접한 뒤 한국을 방문한 사례자 중 한 사람이다.
하지만 M씨는 “한국 드라마 속 한국인 남성의 모습은 외모도 우수하고 경제적으로도 넉넉해 여성을 기꺼이 보호하는 사람으로 묘사돼 있지만 여행 중 무례한 발언을 한 남성을 목격한 적이 있다”면서 “일부의 한국인 남성들은 외국인 여성이 개방적일 것이라 생각한 채 무례하게 접근했다. 일부는 내게 아프리카로 돌아가라고 발언하는 등 인종차별적 태도를 보였다”고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 소식이 중국 현지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자 누리꾼들은 한국 드라마를 포함한 한류 문화에 대해 “한류는 거짓을 기반으로 발전했다”면서 “중국의 대중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파급력을 가지기 위해 더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한류처럼 거짓에 기초하지는 않았다”고 깎아내렸다.
또 다른 누리꾼은 “몇 년 전 다수의 중국인들이 한국 드라마 속 한국인의 이미지를 상상하고 한국을 방문했지만, 드라마와 현실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사례가 대부분이었다”면서 “한국의 거리에서 마주친 한국인들은 드라마 속 캐릭터와는 전혀 다르다. 그들은 전세계를 기만하고 있다”고 비난 일색의 반응을 보였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