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관찰자망은 미국에 거주하며 현지 기업이나 연구 기관에 취업하는 것에 대한 중국 인재들의 선호도가 이전과 다르게 크게 약화됐다면서 그 증거로 지난 한 해 동안에만 무려 1천 400명의 중국인 과학 인재들이 귀국을 선택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지난해 미국에 거주 중이었던 중국 국적의 과학계 종사자들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미 학술기관에 재직 중이었거나 민간 기업체에 소속돼 있었던 중국 출신의 고급 인재들이 귀국한 비율이 전년 대비 약 22% 이상 급증했다고 전했다.
조사 대상자의 상당수는 프리스턴대, 하버드대, MIT 공과대학 출신의 중국 국적의 과학계 종사자들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4개월에 걸쳐 집중 조사됐다.
조사 결과, 미국에 거주 중인 1천 304명의 중국 출신의 학자들 중 절반 이상인 61%가 최근 몇 년 사이에 미국을 떠나 귀국해야 한다는 일종의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 응답자의 약 89%가 미국의 과학 기술 분야 혁신을 위해 기여하고 싶다는 개인적인 의향이 있다고 답변한 반면, 42%는 미국 연구기관에 장기간 종사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답변해 눈길을 모았다.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상당수는 미국 시민권자로, 항공 우주과학과 생물학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인물들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이 매체는 ‘지난 20년 사이에 중국이 과학 연구 중심 국가로 부국강병을 이루면서 미국에서 교육받은 고급 인재들의 귀국 러쉬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 2020년 이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더욱이 지난 2020년 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번지면서 중국계 미국 학자들을 겨냥한 트럼프 행정부의 차별도 고급 인력의 귀국 러쉬를 부추기는 주요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이나 중국계 미국인 첸 강 박사는 “미국 법무부에 의해 중국인 스파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로 무려 1년간의 부당한 조사를 받았다”면서 “부당한 기소 사건에 의해 한 동안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생활해야 했다”고 현지 사정을 설명했다.
그의 증언을 증명하듯, 최근 미국을 떠나 중국행을 선택한 인물 중에는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의 중국인 최초 수상자 추청통 박사가 기존 하버드대를 떠나 칭화대로 이직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는 지난 4월 칭화대 전임 교수로 부임한 직후 소감을 묻는 질문에서 “과거 미국 정부가 소련의 학문 연구 환경을 비판했을 때만 해도 현재의 부당한 미국 학술 환경을 상상하지 못했다”면서 “미국의 과거에 비판했던 소련의 억압적인 학술 환경이 현재 미국에 부활했다”고 비판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