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는 13일(이하 현지시간) 서아프리카 적도기니에서 치명적인 마르부르크(Marburg, 마버그)병이 확인됐으며, 현재까지 이 병으로 최소 9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또 고열과 설사, 구토, 피로 등의 증상을 보이는 의심 환자가 16명 더 있다고 덧붙였다.
마르부르크병은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고열과 심한 두통, 출혈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망할 수 있는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바이러스의 변이 유무와 관리 수준에 따라 치사율은 24%에서 최대 88%에 이른다.
AFP 통신에 따르면, 적도기지 보건부는 마르부르크병 확진자가 확인된 동부 키은템주(州)와 인근 구역에 ‘보건 경보’를 발령하고, WHO 및 유엔과 협의를 거쳐 봉쇄령을 내릴 방침이다.
WHO는 인간에게 알려진 가장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했다며, 지난 14일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이 자리에서 WHO는 전 세계 전문가들을 모아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로서 마르부르크병은 치사율이 최대 88%에 달하는 만큼 치료가 어려울 수 있는데다 전염성이 있어 환자를 격리할 필요가 있는 치명적이지만, WHO는 세계 각국이 방심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마르부르크병은 전 세계에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꼽힌다. 2022년에는 3건의 사례와 2건의 사망이 보고됐고 모두 아프리카 가나에서 발생했다. 2005년에는 앙골라에서 마르부르크병 확산으로 252명이 감염되고 이중 227명이 사망해 역대 가장 큰 피해를 기록했다.
이번 적도기니에서의 확진 사례는 가나에서 사례가 보고된 지 불과 몇 개월 만에 발생한 만큼, 확산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조지 아메 WHO 적도기니 대표는 “(확진자가 발생한) 현장의 감시를 강화했다”면서 “우리는 접촉자 추적을 위해 적도기니의 코로나19 관련팀을 재배치했다”고 밝혔다.
한편, 마르부르크병은 1967년 독일 마르부르크에서 집단 발생하며 발견됐다. 발견 당시 1차 감염원은 우간다에서 수입한 아프리카산 긴꼬리원숭이었으며, 현재는 그 매개체가 과일을 먹고 사는 과일박쥐로 알려져 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하는 마르부르크병은 공기와 상처, 성관계 등으로 전염되며, 잠복기는 2~21일이다.
증세는 발열을 시작으로 두통과 구토, 설사, 발진 등이 나타나며, 이후 잇몸과 눈, 피부 등의 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중증일 경우 신장장애를 일으키며 치사율이 높아진다. 천연두처럼 환자를 격리해야 하는 악성 전염병으로 꼽힌다.
WHO에 따르면 아직까지 승인된 예방 백신이나 항바이러스 치료법은 없으며 면역 치료 등 보존 치료로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