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지난달 29일부터 이틀 동안 폭우로 침수된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찾았다. 김 위원장은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채 작은 고무보트에 올라탔다.
김 위원장이 탄 보트는 이미 강처럼 변해버린 도로를 가로질렀는데, 물살 때문에 보트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 여러 차례 전파를 탔다.
뿐만 아니라 보트가 빠른 속도로 큰 가로수 아래를 지나던 중 김 위원장이 나뭇가지에 찔릴 뻔한 아찔한 상황도 나왔다. 당시 김 위원장은 빠르게 자리에서 살짝 일어나 고개를 숙여 나뭇가지를 피했고, 같은 보트에 타고 있던 간부가 재빨리 손을 뻗어 그를 보호했다.
이후 김 위원장은 나뭇가지를 스칠 때 맞은 물을 털어내려는 듯 머리를 쓸며 매무새를 가다믐었다. 이후 손으로 보트 뒤편을 가리키며 무언가 지시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압록강 하류의 신의주시와 의주군에서는 폭우로 주택 4100여 세대와 농경지 약 3000정보(약 2975만㎡·900만평)를 비롯해 공공건물과 시설물, 도로, 철길 등이 침수됐다. 구체적인 인명피해는 공개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이 물바다가 된 홍수 피해 지역을 구명조끼도 없이 보트를 탄 채 시찰하는 모습은 국내외 언론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됐다. 물에 빠질 위험이 있음에도 보트 가장자리에 올라타 근심스러운 표정을 짓는 모습의 사진과 영상도 쏟아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위험을 무릅쓰고 피해 현장을 직접 챙기는 모습을 연출하고, 동시에 고위 간부들에게 책임을 전가함으로써 민심을 달래려는 의도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홍수 피해는 ‘일꾼’ 영향”…중국, 위로 메시지 보낼까
김 위원장은 이날 보트를 타고 직접 수해 지역을 관찰한 뒤 간부들에게 “큰물(홍수) 피해 방지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아 재난적 상황을 초래하고야 말았다”면서 “주요 직제 일꾼들의 건달사상과 요령주의가 정말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루가 지난 지난달 30일 김 위원장은 평안북도당 및 자강도당의 책임비서, 사회안전상을 각각 교체했다.
한편,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동맹국과 주변국이 이번 북한 홍수 피해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에도 관심이 쏠렸다.
러시아는 지난 6월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하고 밀착 행보를 이어간 만큼, 북한에 위로 서한 및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했던 중국은 러시아와 다른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북한은 지난 1월 중국에서 지진 및 산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위로 서한을 전하지 않았다. 중국도 이번 북한 홍수에 동일한 대응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송현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