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해당 장면을 포착한 이들은 미국 하버드 메디컬 스쿨 시스템생물학과(systems biology) 팽 인 교수와 동 대학원생 랄프 정맨이다.
뼈대(Backbone chain)와 핵염기(Nucleobase)로 구성되어 있는 DNA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보관하는 물질로 평균 크기가 2㎚(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에 불과해 아무리 성능 좋은 현미경이라고 해도 정확한 모습을 포착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에는 엑스레이로 촬영된 생체분자 회절 패턴을 분석해 해당 수치를 3D 모델링 화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그동안 우리가 봐온 DNA 이미지는 정확히 말하자면 생체분자의 엑스선 흔적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팽 인 교수는 오랜 연구 끝에 ‘DNA-PAINT’라는 새로운 촬영법을 개발했다. 이는 핵산과 RNA를 구성하는 단위체인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가 특정 세포 구조를 인식하는 ‘항체’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착안됐다.
즉, 이 항체에 다양한 색깔에 염료를 섞어 DNA에 반응시키면 해당 이미지처럼 형형색색의 신비로운 화면이 포착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 기법으로 촬영할 수 있는 범위는 최대 10㎚(나노미터)까지 가능하다.
해당 촬영법에 대해 하버드대 휘스(Wyss) 생물공학 연구소 ‘돈 잉버’ 박사는 “체내 세포 추적 에 있어서 새로운 비전을 보여줬다”며 “인체 질병 모니터링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데일리메일 캡처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