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과학

[고든 정의 TECH+] 미 해병대, 3D 프린터로 기지를 건설하다

작성 2018.09.14 13:18 ㅣ 수정 2018.09.14 13:18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3D 프린터로 병영을 건설 중인 미 해병대. 사진출처=MCSC


미 해병대 병사들이 콘크리트 진지를 구축하는 방법은 아마 다른 나라 군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아무리 첨단 무기가 많아도 이들 역시 속된 말로 '노가다'를 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적지 않은 병사와 시간이 투입됩니다. 그래서 미 해병대 사령부는 육군과 함께 3D 프린터를 이용해 기지 건설에 투입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미 해병대 시스템 사령부(US Marine Corps Systems Command·MCSC)와 미 육군 공학 연구 및 개발 센터(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의 연구팀은 프로토타입 3D 프린터로 46㎡ 크기의 콘크리트 병영을 40시간 동안 출력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10명의 병사를 5일간 투입해야 건설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입니다.(사진)

미 해병대 사령부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공사에 투입되는 비전투 인원을 줄일 계획입니다. 개발에 참여한 해병대의 매튜 프리델 대위는 해병대가 무기 대신 망치와 합판을 잡고 공사 작업에 투입되기 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3D 프린터는 귀중한 병력을 대체할 새로운 기술인 셈입니다.

하지만 실전에서 사용할 콘크리트 구조물을 모두 3D 프린터로 출력하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출력할 수 없어 견고한 벙커를 출력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물론 3D 프린터 자체의 부피도 큰 편이라서 야전에서 운용하기 위해서는 수송 및 수납이 편리한 형태로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잔고장이 없고 내구성이 좋아 자주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어야 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3D 프린터로 출력한 콘크리트 병영은 철근 콘크리트 벙커처럼 튼튼하지는 않겠지만, 천막보다는 더 나은 방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시간에 건설이 가능하므로 잘만 활용하면 단순히 건설에 투입되는 병사의 수를 줄이는 것만이 아니라 실전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 개발이 필요하지만, 3D 프린터 건축 기술 역시 다른 군사 기술과 마찬가지로 군이 개발한 기술이 민간에 전수되어 활용되고 반대로 민간에서 개발된 기술이 군에 활용되면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악몽 된 수학여행…10대 여학생, 크루즈 배에서 집단 강간
  • 34억원 잭팟 터졌는데…카지노 측 슬롯머신 고장 ‘발뺌’
  • 호찌민 관광 온 한국 남성, 15세 소녀와 성관계로 체포
  • 집단 성폭행 피해 여성, 안락사 요청…경찰도 외면한 ‘강간
  • 14세 소녀 강간 후 ‘산 채로 불태운’ 두 형제, 법의 심
  • 푸틴도 돌겠네…‘빙그르르’ 도는 60억원 짜리 러軍 최강 전
  • 15살 남자아이, 자신 강간하던 50대男 살해…정당방위 인정
  • ‘쾅’ 에어쇼 중 전투기 2대 충돌…조종사 1명 사망 (영상
  • 女26명 죽인 뒤 돼지 먹이로 준 살인범의 충격적 결말…“감
  • ‘지옥의 입’ 벌리는 바타가이카 분화구…‘고대 바이러스’ 유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