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임지연의 내가갔다, 하와이] 꿈의 섬 곳곳에 왜 이렇게 많은 비상벨이 설치됐을까?

작성 2019.11.22 10:54 ㅣ 수정 2019.11.22 10:55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하와이에서 제법 큰 규모로 운영 중인 유통업체 ‘세이프웨이'(Safe Way). 냉동식품을 대량으로 구매해서 해동시켜 먹는 미국의 식습관이 건강을 헤친다는 우려가 제기된 이후, 신선 식품을 유통하는 업체로 이름을 알린 곳 중 하나다. 실제로 하와이 주에서만 20여 곳에서 운영 중인 해당 업체 매장 내부에는 각종 채소, 과일 등이 진열대를 차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냉동된 채 유통되는 일반 반조리 식품과 비교했을 때, 판매 가격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식에 관심이 많은 고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분위기다.

그런데 고객들의 발길로 북적이는 바로 이곳의 주차장 곳곳에 만일의 위험 사태에 대비한 ‘비상 알람 벨’이 설치돼 눈길을 모았다. 해당 매장을 찾은 고객이라면 누구나 한두 번쯤 눈 여겨 봤을 만한 비상벨은 퇴근 후 또는 늦은 시간대에 매장을 찾은 고객에게 발생할 수 있는 만일의 위험 사태에 대비해 설치된 것.

특히 1층 주차장과 매장으로 이어지는 길목에는 이 같은 비상 알람 벨 10여 대가 고객의 발길이 닿는 곳곳에 배치돼 있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벨을 누를 경우, 주차장 입구에서 24시간 대기 중인 경비원에게 호출이 되는 것. 마치 엘리베이터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비상벨을 통해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다만 기존의 엘리베이터 등의 밀폐공간이 아닌, 공개된 공간에서도 비상벨을 통한 구조 요청의 상황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비상 알람 벨은 비단 이 같은 대형 매장 주차장에만 설치된 것이 아니다. 하와이 주 중심에 자리 잡은 하와이 주립대학교 캠퍼스 곳곳에서도 비상 알람벨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형편이다. 대학 캠퍼스 진입로인 버스정류장 인근부터 각 대학 학과 사무실로 이어지는 길목, 식당 인근, 커피숍과 서점, 은행 등 사설 시설물 인근에서도 비상 알람 벨은 눈에 띄기 쉬운 장소 어디에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학교 캠퍼스 곳곳에 설치된 비상 알람 벨은 각종 강력 범죄부터 성추행, 폭행 등의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피해자가 쉽게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셈이다. 필자 역시 가장 처음 하와이를 방문했을 시기, 대형 병원 진입로와 시청 건물, 관공서, 크고 작은 사무실 등 인파가 조금이라도 몰리는 도심 내 시설물이라면 어디서든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비상벨을 눈여겨 본 적이 있다.

당시 필자를 포함한 한국인 지인들은 하와이 와이키키 해변의 눈부신 햇살과 대학 캠퍼스의 낭만과는 상반된 분위기의 비상벨 개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을 의아하게 생각했다. 그런데 이 같은 비상벨의 설치가 대중화된 이유가 하와이에서의 각종 사건 사고 발생률이 높은 것에 기인하고 있다는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모았다. 특히 하와이의 직장 내 성희롱 발생 비율이 매우 탓에 6인 이상의 직원이 고용된 장소라면 어디든 비상벨 설치가 의무화 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확대보기
더욱이 이 같은 비상벨의 설치가 현지의 직장 내 성희롱, 성추행 등 성범죄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각성을 요한다는 분석이다. 최근 현지에서 진행된 설문 조사 결과 하와이 직장인 중 절반가량이 성희롱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미국의 비영리단체 세이프 스페이시즈 앤드 워크플레이스즈 이니셔티브(Safe Spaces &Workplaces Initiative)는 최근 하와이 소재 직장 내 성희롱 문제를 조사한 결과, 여성 직장인 중 52%가 직장에서 성희롱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세이프 스페이스 앤드 워크플레이스즈 이니셔티브’는 미국의 직장 내 성희롱을 방지하기 위해 설립된 대표적인 단체로 꼽힌다. 특히 조사 대상 남성 중 약 42%가 성희롱, 성추행 등 성범죄 피해자가 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들 성범죄 피해자 가운데 단 18%만 해당 피해 사실을 신고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직장 내 성범죄 사건 중 82%의 피해자는 사건 이후 구조, 적절한 후속 조치를 받지 못한 셈이다. 더욱이 현지의 성범죄 신고률이 이 같이 저조한 이유에 대해 피해자들이 수치심을 느끼거나 신고를 주저하고 있다는 연구 조사가 공개됐다.


일부 피해자의 경우 해당 성범죄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성향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수치스러움을 느끼는 탓에 신고를 주저했다고 해당 단체는 밝혔다. 뿐만 아니라, 신고 후에도 적절한 후속 조치가 진행될 가능성이 낮은 탓에 신고 자체를 거부했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한 것.

한편, 세이프 스페이시즈 앤드 워크플레이스즈 이니셔티브 레이첼 웡 설립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하와이에 소재한 직장 내부의 성범죄 심각성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면서 “이번 조사가 직장 내 성희롱을 이해하기 위한 첫 걸음일 뿐이라면서 고용주와 협력해 성희롱 예방 교육을 제공할 방침”이라고 했다.

호놀룰루=임지연 통신원 808ddongcho@gmail.com  

추천! 인기기사
  • 딸에게 몹쓸짓으로 임신까지...인면수심 남성들에 징역 20년
  • 1살 아기 성폭행한 현직 경찰, ‘비겁한 변명’ 들어보니
  • 지옥문 열렸나…이란 미사일에 불바다 된 이스라엘 하늘
  • 기적이 일어났다…엄마가 생매장한 신생아, 6시간 만에 구조돼
  • 마라톤 대회서 상의 탈의하고 달린 女선수에 ‘극찬’ 쏟아진
  • 러시아, 발트해 앞마당도 뚫렸다…우크라의 러 함정 타격 성공
  • 이란의 ‘놀라운’ 미사일 수준…“절반은 국경도 못 넘었다”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아내와 24세 스님 신분 양아들의 불륜 현장 촬영한 태국 남
  • 온몸에 철갑 두른 러 ‘거북전차’ 알고보니 전략 무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