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광장 공포증을 앓는 뭉크가 본 세상 [으른들의 미술사]

작성 2024.06.11 13:47 ㅣ 수정 2024.06.11 13:47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뭉크,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 1892, 캔버스에 유채, 84.5x121cm, 뭉크 미술관 .
카를 요한 거리는 노르웨이 왕궁에서 중앙역에 이르는 1㎞ 남짓한 거리다. 거리 주변에 시청, 국회의사당, 상점, 레스토랑이 있어 늘 북적인다. 양옆으로 길게 늘어선 관공서 건물과 상점으로 카를 요한 거리는 19세기나 지금이나 사람들로 북적이는 번화한 거리다.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에 나오는 사람들의 옷차림으로 봐서 초겨울이다. 북유럽의 겨울은 유난히 길다. 해가 늦게 뜨고 오후 3~4시 경이면 벌써 어둡다. 사람들의 얼굴 표정은 모두 ‘절규’에서 본 것과 같다.

무질서와 불안정한 느낌 강조한 ‘저녁’

폐쇄적인 공간에서 사람들이 앞으로 쏟아지듯 걸어 나오고 있다. 이들의 눈은 공포에 질린 듯 동그랗게 뜨고 있고 입은 꾹 다물고 있다. 누구 하나 대화하거나 소통하는 사람이 없는 삭막한 풍경이다. 추위 속에서 다들 바삐 발걸음을 재촉한다. 사람들 속엔 여성이 끄는 유모차 속 두 아이도 있다. 아이들 역시 사람들과 같은 표정이다. 한쪽으로 치우쳐 중심에서 벗어난 구성은 무질서와 불안정한 느낌을 강조한다.

뭉크는 전에 카를 요한 거리 먼 발치에서 밀리를 본 적이 있었다. 남편 카를이 밀리의 뒤를 쫓는 장면을 본 적도 있었다. 그날 뭉크는 아직도 밀리를 못 잊는 마음이 들킬까 얼른 몸을 숨겼다. 또 다시 카를 요한 거리를 서성이던 어느 날 밀리는 남편 카를이 아닌 다른 남자와 걷고 있었다. 하마터면 밀리와 마주칠 뻔 했다. 뭉크는 이 거리를 어떻게든 벗어나고 싶었다. 그러나 이 넓은 거리를 당장 벗어나기는 어려웠다. 갑자기 그는 모든 것이 공허해졌고 너무나 외로웠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너무 낯설고 어색해 보였고 마치 자신만 군중 속에서 이탈해 혼자 동떨어진 듯 보였다.

표정 없는 사람들 한 무리와 멀찌감치 떨어져서 걸어가는 한 남자가 있다. 학자들은 검은 실루엣으로만 표현된 이 남성을 뭉크 자신으로 본다. 무리에 섞이지 못하는 뭉크는 광장공포, 폐쇄공포, 대인 기피 등 다양한 공포감을 가지고 있었다.

뭉크의 불안함은 길 건너편 불쑥 솟아오른 나무의 그림자를 통해 알 수 있다. 뭉크의 작품에서 그림자는 실체를 알 수 없는 불안의 공포를 나타낸다. 특히 초기 그림에서 그림자는 크고 어둡게 표현되어 뭉크의 마음 한 켠에 자리잡은 불안감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검은 그림자는 암울한 분위기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공포로 읽힌다.

확대보기
▲ 뭉크, ‘카를 요한 거리의 봄날’, 1891.
신인상주의 기법으로 밝은 햇살을 담아낸 ‘봄날’

1년 전 뭉크가 그린 ‘카를 요한 거리의 봄날’과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을 비교해 보면 뭉크의 기법과 심리는 많이 변화했다. ‘카를 요한 거리의 봄날’은 화창한 어느 봄날의 카를 요한 거리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밝고 따뜻한 색채로 그린 봄날의 카를 요한 거리는 사람들마저 밝고 경쾌해 보인다. 뭉크는 프랑스에서 접한 신인상주의 기법을 통해 밝은 햇살을 담아 낼 수 있었다. 어둠 속에서 불쑥 솟아난 나무는 여기서는 위협적이지 않다. 또한 카를 요한 거리에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장면이지만 폐쇄공포와 같은 구성은 보이지 않는다.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에서 드러난 뭉크의 불안한 미래를 드러낸 작품이며 끝을 모르는 불안함은 불길한 예감을 더한다. 뭉크는 객관적 현실보다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했다. 즉 같은 거리를 그렸으나 감정이 다르면 다른 그림으로 보인다. ‘칼 요한 거리의 저녁’은 뭉크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1892년 세 차례의 프랑스 국비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뭉크는 뭐 하나 이룬 게 없어서 두려웠다. 29살의 청년 뭉크에게 미래는 검은 밤하늘처럼 어두웠고 군중들 속에 파묻혀 있듯이 답답했다.

확대보기
▲ 뭉크,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 1896-1897, 채색 석판화, 40.3x60.2cm, 개인 소장.
이번 전시에는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는 뭉크 전시 ‘비욘드 더 스크림’(Beyond The Scream)에는 손으로 채색한 석판화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 한 점을 선보인다. 유화 버전과 좌우가 동일하며 아래 숨어서 관음하는 사람들의 눈을 모아둔 것이 특징이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추천! 인기기사
  • 집단 성폭행 피해 여성, 안락사 요청…경찰도 외면한 ‘강간
  • 전 특수부대 출신 80대 노인, 아무도 도와주지 않자 권총
  • 푸틴도 돌겠네…‘빙그르르’ 도는 60억원 짜리 러軍 최강 전
  • 15살 남자아이, 자신 강간하던 50대男 살해…정당방위 인정
  • ‘쾅’ 에어쇼 중 전투기 2대 충돌…조종사 1명 사망 (영상
  • 한국산 가물치 습격?…美 호수서 ‘프랑켄피시’ 잡혔다고 ‘덜
  • 女26명 죽인 뒤 돼지 먹이로 준 살인범의 충격적 결말…“감
  • 단돈 4달러 주고 산 중고 꽃병…알고보니 2000년 전 마야
  • ‘지옥의 입’ 벌리는 바타가이카 분화구…‘고대 바이러스’ 유
  • “아이스크림에서 ‘사람 손가락’ 나와”…‘이물질 식품’에 발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