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러 스텔스기 SU-57은 종이호랑이?…“러, 손실 두려워 투입 소극적” [핫이슈]

작성 2024.06.12 16:24 ㅣ 수정 2024.06.12 16:24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러시아의 최신예 전투기 수호이(Su)-57 전투기 자료사진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의 최신예 전투기 수호이(Su)-57 전투기를 처음으로 공격해 파손시킨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해당 기체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 인사이더(BI)는 러시아 측이 Su-57의 손실이 두려워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하는 것을 자제해왔다고 보도했다.

서방 군당국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Su-57은 러시아가 자랑하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로 ‘흉악범‘(Felon)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 국영언론은 종종 Su-57의 성능이 미국의 F-22나 F-35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더 낫다고 주장해왔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번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이후 Su-57의 투입 여부에 대해 큰 관심을 보여왔다. 이에대해 러시아 러시아 타스 통신 등 현지언론들은 지난 2022년 5월 Su-57을 우크라이나에서의 ‘특수 작전’에 투입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영국 국방부 산하 정보기관 국방정보국(DI)도 “러시아 공군이 지난 2022년 6월부터 Su-57을 우크라이나를 겨냥한 임무에 사용해 온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확대보기
▲ 미군의 F-35(왼쪽)와 러시아의 수호이(SU)-57의 이미지
그러나 러시아가 보유한 최강의 전투기인 Su-57의 활약상은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이는 러시아군이 Su-57의 사용을 극히 제한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대해 BI는 서방정보기관과 항공 전문가들의 말을 빌어 “이는 우크라이나가 Su-57을 격추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평판 손상, 민감한 기술이 서방으로 넘어갈 우려, 여기에 향후 수출 전망까지 어둡게 만든다는 점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특히 여기에 Su-57이 러시아의 주장처럼 실제로 뛰어난 스텔스 기능과 성능을 가지고 있느냐는 의문도 따라다니고 있다.

확대보기
▲ 우크라이나 군에 공격받은 러시아 수호이(Su)-57의 모습. Maxar Technologies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저스틴 브롱크 연구원은 “이번 우크라이나의 Su-57 공격은 러시아 당국이 오랜 문제를 겪어온 해당 프로그램에 상당한 상징적 타격”이라면서 “느리게 진행된 개발과 격추될 경우 나타날 우려 때문에 Su-57은 지금까지 전쟁에서 극히 미미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앞서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GUR)은 지난 9일 “침략국의 Su-57 전투기가 전선에서 589㎞ 떨어진 러시아 아스트라한의 비행장에서 공격당했다”면서 “Su-57은 러시아의 가장 현대적인 전투기로, 이 기체가 손상된 것은 역사상 처음”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박종익 기자

추천! 인기기사
  • 악몽 된 수학여행…10대 여학생, 크루즈 배에서 집단 강간
  • 집단 성폭행 피해 여성, 안락사 요청…경찰도 외면한 ‘강간
  • 14세 소녀 강간 후 ‘산 채로 불태운’ 두 형제, 법의 심
  • 푸틴도 돌겠네…‘빙그르르’ 도는 60억원 짜리 러軍 최강 전
  • 15살 남자아이, 자신 강간하던 50대男 살해…정당방위 인정
  • ‘쾅’ 에어쇼 중 전투기 2대 충돌…조종사 1명 사망 (영상
  • 女26명 죽인 뒤 돼지 먹이로 준 살인범의 충격적 결말…“감
  • ‘지옥의 입’ 벌리는 바타가이카 분화구…‘고대 바이러스’ 유
  • 女26명 살해한 ‘연쇄살인마’ 폭행당해 ‘혼수상태’…깨어날
  • “아이스크림에서 ‘사람 손가락’ 나와”…‘이물질 식품’에 발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