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레이더를 개발한 스웨덴의 사브(SAAB)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간), 한국 육군에 첫번째 레이더를 납품했다고 밝혔다.
대포병레이더란 적군이 포탄을 쐈을 때, 그 탄도를 역추적해 그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는 장비다.
우리나라는 북측의 강력한 포병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대화력전’이란 임무를 마련하고 있다.
이 임무는 북한의 포병이 공격을 위한 준비를 하거나 실제로 공격을 할 경우 반격하기 위한 것으로, 대포병레이더는 대화력전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장비다.
대화력전은 원래 주한미군과 함께 수행하고 있었으나, 2012년으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와 맞물려 한국군에 이양됐다.
육군은 이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기 위해선 신형 대포병레이더가 필요하다고 판단, 2006년부터 ‘WLR-X’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전에는 1990년부터 도입한 미국제 AN/TPQ-36, 37 대포병레이더를 사용해왔다.
이번에 인수한 아서 레이더는 최대 60km 거리의 적 포병도 탐지해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브측은 이 레이더가 5톤 트럭에도 실을 수 있을 만큼 전체 시스템이 간단해 CH-47 헬기나 C-130 수송기로도 수송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아서 레이더는 스웨덴을 비롯해 노르웨이, 체코, 덴마크, 그리스, 스페인, 영국, 미국 등에 수출돼 사용중이다.
우리나라는 총 6기의 레이더를 도입할 계획으로 나머지 레이더들도 내년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사진 = 밀리터리포토넷 (체코의 아서 레이더)
서울신문 나우뉴스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