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1년 인도에서 쏟아진 붉은색 폭우가 집중 조명됐다.
23일 방송된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는 2001년 인도 케랄라 지역에서 내린 ‘붉은비’에 대해 그 원인을 밝히려는 그간의 노력들을 소개했다.
방송에 따르면 ‘인도 붉은비’에 대해 생물학자들은 비가 붉게 물든 이유로 새나 박쥐들이 상공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운석에 맞아 그 피가 비와 함께 떨어졌다고 주장을 펼쳤다. 하지만 비가 오던 당시 케랄라 지역에 새나 박쥐 떼는 목격되지 않았다.
반면 기상학자들은 비의 원인이 제트 기류를 타고 사하라 사막의 붉은 모래가 날아와 비가 함께 내렸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또한 인도 전 지역이 아닌 케랄라 지역에만 붉은 비가 내려 신빙성을 잃었다.
또 인도 열대 식물원 연구소에서는 해조류의 포자 때문에 붉은비가 내렸다고 주장했다. 모래에서 해조류의 포자가 발견됐으며 그 포자로 해조 배양에 성공했으며 같은 종류의 해조가 실제로 인근 해변에서 자라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외계 유성이 대기권과 만나 분해되면서 외계 세포들이 비가 돼 내렸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실제로 당시 비가 내렸을 당시 사람들이 엄청나게 큰 소리가 들렸다고 증언하자 고드프리 루이스 교수는 유성이 대기권에 충돌하면서 난 폭발음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찬드라 위크라마실헤 교수는 실제로 인도에서 유성 파편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거로 이를 반박, 세포는 지구상의 새로운 생명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들 이외에도 현재까지 많은 주장들이 제기됐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런 와중에 지난 2008년 8월 콜롬비아에서도 붉은비가 내려 그에 대한 의문이 점차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 = MBC
서울신문NTN 정병근 기자 oodless@seoulntn.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