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최근 영국에서 임신 7주차에 태아 성별을 알수있게 해주는 테스트가 300파운드(약 54만원)에 성행하고 있다.
현지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산모에게서 추출한 혈액 내 염색체 검사를 통해 성별을 알아내는 이 검사는 정확도가 99%에 달하며, 비교적 저렴한 검사비용 때문에 출산 전 이를 선호하는 커플이 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 검사가 태아와 산모에 해가 없을 뿐 아니라 태아에게 질병이 있는지 미리 검사할 수 있어 유익하다는 주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태아 성감별이 낙태가능시기인 20주 이후에 실시되는 반면, 지나치게 빠른 시기에 태아의 성을 알게 되면 낙태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한국이나 중국·인도 등 남아선호사상이 아직 뿌리깊은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 이 같은 검사가 낙태율을 상승시키는 주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권고했다.
생명윤리단체의 조세핀 콴타벨라는 “태아의 성 감별이 빠르면 빠를수록 여성이 낙태를 선택할 확률도 높아질 것”이라면서 “특히 중국이나 인도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이는 대대로 내려져 온 윤리적 문제였으며, 위 국가에서 이 검사가 권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영국 임신 자문 서비스(British Pregnancy Advisory Service)의 대변인은 이 테스트가 비계획임신의 확산과 장애아의 출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면서 “여성들이 도덕적이고 양심적인 결정을 하리라 믿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학윤리센터(the Center for Medical Ethics)의 아브라함 스텐버그 교수는 “이 문제는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면서 “우리는 태아의 성별이 낙태의 합법적인 이유가 돼서는 안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