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앨버트아인슈타인의과대학((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의 신경학자인 루시 브라운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사랑의 감정 또는 로맨틱한 감정을 느낄 때 반응하는 뇌의 부위와 약물에 반응을 보이는 뇌의 부위가 일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스스로 깊은 사랑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남자 7명과 여자 10명에게 실제 그들의 애인 사진과 그와 비슷한 사람의 사진을 보여준 뒤 자기공명(MRI) 뇌 사진을 찍었다.
이들은 짧게는 한 달, 길게는 2년 정도 사랑을 하고 있다고 했으며, 애인 사진을 본 뒤 관찰한 뇌에서는 자극이나 보상, 열정 등을 담당하는 영역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했다.
루시 브라운 박사는 “누군가에게 ‘홀딱 반한’ 사랑의 감정은 일반적으로 자극이나 보상, 열정 등을 담당하는 뇌의 복측피개영역(VTA)과 연관이 있다.”면서 “사랑에 빠지면 뇌의 쾌락중추인 대뇌 피질 중 전두엽의 앞부분인 전전두엽의 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행복을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극심한 사랑의 열정은 마약에 중독됐을 때 반응하는 뇌 부위와 같은 곳을 자극하고 활성화시킨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랑이라는 감정은 행복을 주는 동시에 불안감과 염려를 동반하는데, 이는 사랑이 마약처럼 행복함과 고통을 함께 주는 중독증상의 하나이기 때문이며 이 과정은 커플이 함께 한 시간에 따라 점차 변화한다고 브라운 박사는 덧붙였다.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캠퍼스의 심리학자인 아서 에이런 박사는 “오래 사랑한 커플의 특정한 뇌 부위는 활성화 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사랑에 대한 열정이 점차 줄어들고 유대감이 상승한다.”면서 “사랑의 열정이 감소한다는 것은 곧 불안과 염려 역시 감소하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루시 브라운 박사 연구팀은 사랑을 하다 헤어지는 고통은 마약을 끊는 것과 유사한 고통이라는 연구결과 내놓은 바 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