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석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생긴 움푹한 구덩이를 뜻하는 운석구덩이는 프린스앨버트 지역에 매장된 광물자원과 에너지를 조사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으며 길이는 25㎞에 달한다.
과학자들은 이 운석광의 정확한 형성 시기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지만, 약 1억3000만~3억500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를 이끄는 서스캐처원대학교(University of Saskatchewan)측은 조각난 소행성이나 혜성이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크기가 더 작아졌고,일부는 모래나 낱알정도의 작은 크기가 되어 공중에서 사라졌으며, 크기가 큰 것들은 운석이 되어 지구 표면에 이러한 엄청난 흔적을 남겼을 것으로 보인다.
브라이언 프랫 박사는 “바닥에 산산이 부서진 채 깔려있는 원뿔형의 물체들은 운석이 지면에 부딪힐 때 생긴 엄청난 충격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면서 “운석구덩이만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운석구덩이는 지각이 어떻게 순환되는지, 그리고 어떤 주기로 변화하는지 알게 해주는 중요한 단서”라면서 “지구상에서 이미 멸종된 동물들의 흔적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지구에 알려진 충돌 분화구는 약 180개. 최근에는 그린란드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운석구덩이를 발견한 바 있다. 약 30억년 된 이것은 길이가 100㎞가 넘으며, 오랜 시간 부식과 침식을 겪기 이전에는 길이가 500㎞가까이 됐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