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허핑턴포스트 등 현지 언론의 24일자 보도에 따르면 양봉가인 마크 혼은 자신의 농장에서 밤에 극렬하게 움직이며 죽기 직전까지 심하게 요동치는 등 이상증상을 보이는 벌들을 발견했다.
일부 벌들은 이미 죽어있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듯 날아다니다 거실 등에 툭툭 떨어지기도 했다.
그가 벌들의 사체를 모아 조사한 결과, 누에 쉬파리의 번데기를 발견했으며 자신의 벌들이 이에 의해 감염됐음을 확인했다.
이에 감염된 꿀벌은 제자리에서 맴도는 등 이상한 행동을 하다가 한밤중에 벌통을 떠나 빛을 향해 날아가는 것으로 생을 마감한다. 기생 파리의 알은 1주일 뒤 깨어나 꿀벌의 목에서 최고 13마리까지 꾸물꾸물 기어 나온다.
‘좀비 벌’의 발견은 지난 2008년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의 생물학자 존 하퍼닉 박사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그는 “실험실에서 이 파리와 꿀벌을 함께 넣어둔 결과, 기생파리는 꿀벌의 배 위에 2~4초 만에 산란관을 삽입, 알을 낳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파리의 알이 꿀벌의 몸을 숙주로 삼고 기생하다 세상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퍼닉 박사는 기생파리의 집단 크기가 크고 꿀벌을 숙주로 삼으며 크게 번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아메리카 고유종인 이 기생파리는 아메리카 대륙을 넘어 다른 대륙으로까지 번지면서 세계적인 꿀벌 집단붕괴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허핑턴포스트는 이러한 ‘좀비 벌’이 워싱턴주를 포함해 오리건주와 사우스다코타 등지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꿀벌이 감소하는 현상 등의 원인이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