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뱀 가죽 아이템은 아름다운 디자인과 희소가치 등으로 고가에 팔리는데, 최근 한 해외언론이 수공예로 유명한 인도네시아산 뱀가죽 가방의 제조 비용 및 가공과정을 공개해 충격을 주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곳은 인도네시아 자바지역의 뱀 도살장 및 뱀가죽 제조 공장으로, 수많은 인도네시아산 뱀가죽 제품들이 이곳에서 탄생해 세계 각지의 백화점 등 매장으로 향한다.
도축장의 주인인 와키라는 10명의 인부들과 함께 일하는데, 그가 가방과 신발, 지갑, 벨트 등을 만들 수 있는 뱀가죽을 팔아 벌어들이는 수익은 한 달에 약 16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180만원에 달한다.
이곳에서 수 백 마리에게서 벗겨낸 가죽으로 가방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은 15~31달러(1만6000~3만4000원)선. 세부적인 가격은 크기에 따라 달라지지만, 영국이나 프랑스 등 서양의 소비자들의 최종적으로 이를 구매하는 가격은 4000달러(약 434만 5000원)에 달한다.
이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뱀 가죽을 만드는 과정은 지독하게 잔인하다. 마체테라 불리는 날이 넓고 무거운 칼로 뱀 머리를 쳐서 기절한 뒤 입을 통해 긴 파이프를 넣는다. 이후 이 파이프에 물을 채워 풍선처럼 부풀게 만든 뒤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게 몸의 일부를 단단히 묶는다.
이후 머리는 꼬챙이 등으로 꿰어놓고 물에 닿아 부드러워진 가죽을 벗겨내기 시작한다. 뱀은 이때까지도 숨이 붙어있는데, 가죽이 다 벗겨지고 나면 극심한 고통으로 인한 쇼크 또는 탈수증으로 죽는다.
벗겨낸 뱀 가죽은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둥글게 말아 뜨거운 철판에 놓고 잘 말린다. 이후 제품의 특성에 따라 염색작업을 거치기도 하며 세밀한 가공을 위해 무두질 공장으로 보내진다. 한편 지난해 말 개발도상국 중소기업 지원단체인 국제무역센터(ITC)와 야생동물 거래 감시단체 트래픽(TRAFFIC)은 연간 10억달러 상당의 비단뱀 가죽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지에서 이탈리아와 독일, 프랑스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면서 “비단뱀 가죽 거래의 96%를 유럽 패션업계가 차지하고 있다. 비단뱀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