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UCL 런던대학등 공동연구팀은 왜 인간 등 일부 포유류가 ‘본성’에 가까운 일부다처제를 포기하고 일부일처제로 변화했는지를 밝히는 논문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the journa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최신호에 발표했다.
과거 인간 역시 농경 채집 사회를 거치면서 오랜시간 일부다처제로 살아왔다는 것이 인류학자들의 정설이다. 그러나 왜 인간 등 일부 동물들이 일부다처제를 포기했는지에 대해서 뚜렷한 설명을 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230종의 유인원 데이터를 모아 조사해 또 하나의 가설을 내놨다. 연구팀이 밝힌 일부 포유류가 일부일처제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자식’ 때문이라는 것.
선임 저자 UCL 런던대학 인류학자 키트 오피 박사는 “유인원을 보면 새끼가 있는 어미들은 양육을 위해 짝짓기를 멀리 하는 경향이 있다” 면서 “반대로 수컷들은 다른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그 새끼를 죽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암컷은 물론 수컷 또한 자신이 낳은 새끼를 더욱 잘 보호하고 키우기 위해 함께 생활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새끼를 지키고 잘 키우기 위해서는 ‘한 가정’이 더 유리했다는 주장이다. 또한 부모의 보호 속에서 잘 자란 새끼가 뇌의 용량도 커져 지적 발달에 도움이 됐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으로 특히 인간이 이에 대표적인 사례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같은 날 이와 다른 연구결과도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역시 일부일처제의 비밀을 밝힌 연구결과를 ‘사이언스’(the journal Science) 최신호에 발표했다.
논문의 공동저자 케임브리지 대학 디터 루카스 박사는 “과거 암컷들은 서로 떨어져 살아 여러 수컷들의 짝짓기 대상이 됐다” 면서 “암컷들은 자신을 지키고 새끼를 잘 키우기 위해 한 명의 수컷에 집중하게 돼 일부일처제로 굳어졌다”고 주장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