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요즘 포장이사 성수기라서 이사하는 날을 정하기 어렵고 포장이사비용도 만만치 않다 보니 미리 예약을 통해 안전한 포장이사전문업체에서 합리적인 포장이사 가격을 받으려는 추세다.
우선 이사하기 최소 2~3주 전에는 이사업체와 계약을 맺는 게 좋다. 시간적 여유가 없는 맞벌이 부부들은 급하게 이사를 하는 경향이 많은데 미리 준비해야 합리적인 포장이사 가격을 정하고 이사를 할 수가 있다.
서울 서초구에서 살다 강북구로 이사 간 A(35)씨는 비용을 아끼려고 무허가 영세 포장이사 업체에 이사를 맡겼다가 물건이 파손됐음에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는 피해를 보았다.
이렇게 소비자원에 신고된 포장이사 관련 민원이 최근 들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밝혀지면서 전문가들은 피해를 예방하려면 포장이사 전문업체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포장이사 견적비교를 각 업체 별로 최소 2~3군데는 알아보고 미리 예약을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관허업체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포장이사 전문업체 MTM24코리아 관계자는 “포장이사준비를 하기 전에 여유를 갖고 지인이나 주부들이 추천하는 포장이사업체를 선택해야 만족도가 높다”면서 “이사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본사 직원들이 친절과 숙련교육을 철저히 하므로 안심해도 된다”고 말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