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과학 전문 인터넷 매체인 사이언스데일리는 아연(Zn)이 치명적인 연쇄상구균을 굶겨 인체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전을 호주 연구진이 밝혀냈다고 네이처지를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호주 퀸즈랜드 대학 및 아델레이드 대학의 전염성 질환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가 연쇄상구균 폐렴을 치료하는 항생제 개발의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쇄상구균 폐렴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어린이와 노약자 100만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뇌수막염 등 다른 심각한 감염성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과학 전문지인 네이처지(화학생물학 부문) 11일자에 게재된 이번 연구의 핵심은 아연이 박테리아 속 단백질 전달체를 막아 망간을 흡수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망간은 연쇄상구균이 인체에 침투해 질병을 일으키는데 필수적인 금속이다.
연구진을 이끈 크리스토퍼 맥데빗 박사는 “아연이 인체를 세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해준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졌다”면서 “그러나 아연이 실제로 박테리아로 이어지는 중요한 통로를 막아 굶주림을 초래한다는 기전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원자 수준에서 박테리아가 어떻게 ‘전달 단백질’을 통해 망간을 흡수해 살아가는지, 그리고 동시에 어떻게 아연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지에 대한 화학 및 생화학 분야는 물론 미생물학과 면역학 분야를 포괄한다고 퀸즈랜드 대학의 보스챤 코브 박사는 설명했다.
맥데빗 박사는 “박테리아로부터 망간만 차단하면 인체의 면역시스템에 의해 박테리아는 박멸된다”면서 “이번 연구는 박테리아에 망간을 옮기는 핵심 전달체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세대 항생제 개발의 첫 걸음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창용 기자 sdrag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