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 등 악어목 동물들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았던 것 보다 훨씬 영리한 사냥 방법을 쓴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미국 테네시대학교의 동물학자들은 인도와 미국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등지에서 서식하는 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 등을 관찰한 결과, 이들은 물새류가 새집을 짓는 계절과 시기가 되면 이를 알아채고 ‘맞춤 사냥방식’을 쓸 줄 아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년 3~4월 미국 루이지애나 강가 인근의 물새는 새로 둥지를 짓기 위해 나뭇가지를 모은다. 이때가 되면 악어류는 강가에 떠 있는 나뭇가지를 모아 콧등 위에 가지런히 올리고 기다리다 물새가 나뭇가지를 줍기 위해 날아들면 재빨리 낚아챈다.
이처럼 파충류가 도구를 이용하거나, 포식동물이 사냥감의 계절별 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맞춰 사냥하는 사례 등은 동물학계에서 최초로 밝혀진 것이다.
파충류 이외의 동물류에서 사냥 할 때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보고된 바가 있다.
검은댕기해오라기(Green herons)의 경우 자신의 깃털과 나뭇가지 등을 물고기 사냥에 활용하며, 굴 올빼미(burrowing owl)는 자신의 배설물을 이용해 쇠똥구리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악어류의 똑똑한 사냥습관 연구는 ‘생태행동과 진화’저널(journal of Ethology Ecology and Evolution) 최신호에 실렸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