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과학전문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닷컴은 영국 맨체스터 대학 고생물학 연구진이 프랑스 동부 지역에서 고대 ‘장님거미 화석’을 발견했다고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X-레이 분석으로 확인된 해당 화석의 연대는 약 3억 년 전으로 이 거미는 고생대 후기인 석탄기에 생존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는 잠자리 등의 곤충류가 번성했고, 파충류가 최초로 출현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3D X-레이 기법으로 재현된 거미의 모습은 긴 다리와 단단한 몸체가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특이한 것은 거미의 눈으로 총 4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실이 주목되는 이유는 눈의 개수가 거미 종 진화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장님거미(통거미)는 거미강에 속하긴 하지만 기존 거미처럼 몸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있지 않고 머리·가슴·배가 하나로 연결되어있어 다른 종으로 취급받아왔다. 또한 기존 거미들은 눈이 보통 4개인 반면 장님거미는 2개 밖에 없다.
하지만 이 화석은 전형적인 장님거미의 외형을 가진 반면, 눈이 4개가 있어 일반거미와 통거미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심지어 전갈 등의 다른 절지동물들과 공통되는 부분도 발견됐다. 즉, 이 고대 장님거미는 거미 진화 과정의 첫 부분에 서있는 것과 마찬가지이기에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연구진은 해당 화석에서 유전자를 추출해 현대 거미 종들의 진화 과정과 비교하는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 중인 맨체스터 대학 고생물학자 러셀 가우드 박사는 “생물 진화 역사에서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몇가지 미스터리를 이 거미를 통해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10일(현지시간) 발표됐다.
사진=라이브 사이언스닷컴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