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오하이오에 사는 히더와 아담 커플은 한밤중 생후 10개월 된 딸의 침대맡에 설치한 CCTV 모니터에서 “아가야 일어나!” 라고 말하는 낯선 남성의 음성을 들었다.
두 사람이 설치한 CCTV는 휴대전화와 연결돼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 아이의 상태를 살피는 역할을 해 왔지만, 그 목소리를 들은 후로는 불안감을 떨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는 마치 누군가 조종이라도 하듯 아이 또는 부모가 방을 드나들 때마다 움직임에 맞춰 미묘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그리고 카메라에 부착된 스피커에서는 아기를 부르는 소리 외에도 욕설과 음란한 이야기들이 쏟아졌다.
두 사람은 곧장 진상파악에 나섰고, 카메라와 연결된 시스템이 해킹 당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노트북 컴퓨터에 내장된 카메라 등이 해킹당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IT 전문가는 “집안에 인터넷으로 연결된 기기가 있다면 외부에서 쉽게 해킹이 가능하다”며 주의를 요했다.
이어 “해커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히 인터넷 상에서 카메라의 동작을 방해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이 기술을 이용해 네트워크 전반에 침입, ID나 패스워드 등 온라인상의 개인 정보를 빼내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집안 내에서 사용하는 무선인터넷(와이파이)에 반드시 비민번호 설정을 하고, 해당 기기의 웹사이트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보안 관련 업데이트를 설치하라고 권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