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2014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컨퍼런스에서 미국 하버드 메디컬 스쿨, 컬럼비아 메디컬 센터 연구진은 노년층의 냄새 식별 능력 감소와 뇌 세포 감소 사이의 연관성을 제기한 연구결과를 각각 발표했다.
먼저 하버드 메디컬 스쿨의 연구를 살펴보면. 이들은 노년층 215명을 대상으로 후각, 기억력 정도가 당단백질인 아밀로이드의 침착과의 관련성을 조사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단백질은 뇌 내에 축적돼 노화, 치매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과정에서 활용된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구진은 215명을 대상으로 냄새 식별 테스트를 진행하는 한편, 동시에 뇌에서 기억력을 담당하는 내후각 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 그리고 아밀로이드단백질의 침착정도를 관찰했다.
결과를 보면, 내후각 피질(entorhin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의 크기가 작을수록 실험참가자들의 후각 능력도 퇴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후각 능력이 약해지면 뇌 기억력도 함께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 컬럼비아 메디컬 센터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증세가 나타나는 환자들은 유독 ‘악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연구결과들은 퇴행성 뇌질환이 인간 후각 기능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려주며 간단한 냄새 테스트가 치매 진단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즉, 값비싸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기존 치매 진단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를 완전히 수용하기는 아직 이르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몇 가지 부분에서 감각 손실이 발생하는 게 이상한 것이 아니고 냄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조건이 60여 가지가 넘는 만큼 모든 원인을 퇴행성 뇌질환으로 가정하기는 어렵다.
이에 대해 국제 알츠하이머학회 이사 더그 브라운 박사는 “보다 심층적인 테스트 방식 개발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