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1일 국내 출시되는 아이폰6(16GB 모델 기준)의 원가는 200달러(한화 21만 1600원, 현재 환율 기준) 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이 23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관인 IHS 아이서플라이(iSuppli)가 조사한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의 원가를 보도했다.
이 매체가 공개한 원가 구성표에 따르면 아이폰6의 원가는 200.1달러(21만 1705.8원), 아이폰6 플러스는 215.6달러(22만 8104.8원)이다.
이 원가로 생산된 제품의 미국 출시가는 아이폰6가 649달러(68만 6642원), 아이폰6 플러스는 이보다 100달러 비싼 749달러(79만 2442원)이다. 반면, 일주일 뒤 애플스토어를 통한 국내 출시가는 아이폰6가 85만원(803.4달러, 현재 환율 기준), 아이폰6 플러스가 98만원(926.28달러)이다. 그 차액은 16만원 이상으로 상당하다.
▼가장 비싼 부품 ‘디스플레이’
부품마다 가격을 비교해 보면 역시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비싼 것을 알 수 있다. 아이폰6의 4.7인치 디스플레이는 45달러(4만 7596.5원), 아이폰6 플러스의 5.5인치 디스플레이는 52.5달러(5만 5529.25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즉,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에서 크게 부품 가격이 다른 이유는 결국 디스플레이 때문이고, 그 차이가 두 모델의 원가 차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카메라 광학 손떨림 보정 차액 ‘1.5달러’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의 차이점 중 하나는 광학 손떨림 보정 기능의 탑재 유무이다. 다만 이 기능이 탑재된 아이폰6 플러스의 카메라 부품 원가는 12.5달러(1만 3221.25원), 탑재되지 않은 아이폰6는 11달러(1만 634.7원)이며, 그 차이는 불과 1.5달러(1586.55원)밖에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차이라면 아이폰6에도 광학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했어도 좋지 않았느냐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1.5달러의 차이로 아이폰 전체 출하량이 수천만 대가 하락하므로 최종 비용의 차이는 1000억 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만큼의 차이는 애플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일지도 모른다.
사진=애플(위), 맥루머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