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최초의 혜성탐사선 로제타호가 혜성에 남긴 '그림자 셀카'가 공개됐다.
지난 3일(현지시간) 유럽우주기구(ESA)는 로제타호가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이하 67P) 표면에 남긴 둥그런 모습의 그림자를 공개했다. 사진 속 그림자는 물론 로제타호 자신의 모습이 촬영된 것으로 혜성 67P에 태양빛이 잘 들고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ESA 측은 "이 사진은 '빛의 화환'과도 같은 희귀한 '작품'" 이라면서 "지난달 14일 로제타호가 혜성 저공비행 중 촬영한 것으로 현재 표면과의 거리는 약 6km" 라고 밝혔다. 이에앞서 지난달 중순 로제타호는 혜성 67P에 접근하면서 찍은 표면 사진을 지구로 전송한 바 있다.
언론에 일부 공개된 사진을 보면 혜성 표면의 균열이 보이며 과거 물이 흐른 것 같은 물결 무늬도 확인됐다. 이는 중력과 대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혜성이 지구와 같은 역동적인 지질 특징을 가진 것으로 해석돼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다소 볼품없어 보이는 그림자 셀카지만 로제타호는 이 사진을 찍기 위해 지난 10년 간 지구와 태양거리의 42배가 넘는 무려 64억 km를 쉬지않고 날았다. 특히 지난해 11월 로제타호에 실린 탐사로봇 필레는 사상 처음으로 혜성에 착륙했다.
그러나 햇빛이 닿지 않는 그늘에 필레가 불시착하면서 인류의 첫 혜성 착륙 시도는 절반의 성공으로 끝났다. 그렇다고 아직 '필레의 모험'이 끝난 것은 아닌 것 같다. 지난 1월 프랑스우주국(CNES) 쟝 이브 르 갈 국장은 "3월이 되면 필레가 햇빛을 받아 배터리를 충전해 실험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한편 ESA가 우리 돈으로 2조원 가까이 들여 멀고 먼 혜성에 우주선을 보낸 이유는 약 46억년 전 태양계 형성 시 생겨난 잔해들로 혜성들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ESA 과학자 데트레프 코츠니 박사는 “혜성의 구성 성분이 46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와 거의 일치해 지구 생명의 기원 등 많은 실마리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