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일 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이례적으로 짧다고 천문학자들이 밝혔다.
월식 현상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 달이 지구 그림자 속을 통과할 때 발생한다. 눈의 보호가 필요한 일식의 경우와 달리 월식은 맨눈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쌍안경이 있다면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미국 천문학잡지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Sky and Telescope)는 이번 개기월식이 “매우 짧다”고 설명했다.
이번 월식은 한국 시간으로 4일 오후 7시 15분부터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월식으로 시작한다. 이후 1시간반이 좀 지난 오후 8시 54분부터 약 12분간에 걸쳐 본격적인 개기월식을 감상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개기월식은 다른 때보다 짧은 편인데 이는 “지구 그림자 안쪽 ‘본그림자’(Umbra)의 끝 부분을 달이 통과하므로 상대적으로 시간이 짧은 것”이라고 이 잡지는 설명하고 있다.
이때 달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빛에 걸리므로 평소보다 어둡고 붉게 보이게 된다. 또 달이 본그림자로 진입하는 경로에 맞춰 달의 북동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훨씬 밝게 보이게 될 것이다.
이번 월식은 한국 외에도 중국과 일본 등 일부 아시아와 호주, 그리고 북미 일부 지역에서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날 우리나라 날씨는 구름이 많을 것으로 예상돼 관측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이번 월식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간 각각 6개월 가량 간격으로 4차례에 걸려 발생하는 개기월식의 3번째에 해당한다. 최근 개기월식은 지난해 10월 8일에 일어났으며, 다음 개기월식은 오는 9월 27일에 일어난다.
사진=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