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대표적으로 '무서워하는 존재' 거미. 과연 인간이 거미에 공포를 느끼는 것은 선천적인 이유일까 아니면 후천적인 이유일까?
최근 미국 콜롬비아 대학 연구팀이 소위 '거미공포증'(arachnophobia)의 근원을 밝힌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끌고있다.
인류와 오랜 시간을 함께해 온 거미는 사진만 봐도 혐오스럽고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만큼 인간의 다양한 공포 대상 중 선두주자로 꼽힌다. 지금도 거미는 오래된 집 구석에 거미줄을 치고있을 만큼 인간에게 익숙한 존재지만 왜 우리는 유독 거미에 공포를 느끼는 것일까?
이에대한 콜롬비아 대학 연구팀의 대답은 '우리 DNA 탓'이다. 곧 거미에 대한 두려움은 후천적인 경험이 아닌 원래부터 두려워하는 선천적인 것이라는 것. 연구팀의 이같은 결론은 252명의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을 통해 얻어졌다.
먼저 연구팀은 이들 피실험자들에게 공포심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각종 추상적인 형체들을 모니터에 띄운 후 그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피실험자들은 다른 어떤 형체보다도 거미같은 모양에 유독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연구를 이끈 조슈아 뉴 박사는 "인류의 초기 진화단계에서 작고 찾기도 힘든 거미가 잠재적이고 치명적인 위험으로 존재했다" 면서 "이같은 경험이 거미에 대한 경고와 공포로 이어져 우리 DNA의 일부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거미에 대한 공포는 인간의 생존 본능에서 오는 것" 이라면서 "거미를 먼저 발견하는 것 자체가 생존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와 다른 시각도 있다. 지난 2012년 영국 플리머스 대학 존 메이 교수 연구팀은 거미의 색깔과 각진 다리가 인간에게 공포심을 느끼게 한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메이 교수는 "거미가 어두운 색깔에 길고 각진 다리를 가져 사람들이 싫어한다" 면서 "거미에 대해 무지한 것도 공포심에 한 몫 한다"고 주장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