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인터스텔라’ 속 우주공간이동이 현실에서도 이뤄지는 날이 다가오는 것일까.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1일 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이 비밀리에 '워프드라이브 엔진'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나사플라이트닷컴(NASAflight.com)포럼에 참여한 NASA 연구원들의 말을 인용,보도했다.
데일리메일은 엔진 제작에 참여중이라는 NASA엔지니어가 이 엔진이 미래에 인간을 4시간 만에 달까지 갈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워프드라이브 엔진은 전자기장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전환시켜 주는 EM드라이브(Electro Magnetic Drive, EMDrive)기술을 사용한다. 이 엔진의 원리는 폐쇄된 컨테이너에 마이크로파를 튀겨줌으로써 추진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기술의 근원이 되는 마이크로파(극초단파)는 태양에너지를 통해 얻는다. 따라서 이 엔진은 가스같은 로켓추진체(추진연료)가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EMDrive는 미국과 영국, 중국의 전문가들이 오랜 기간 실험을 실시해왔지만 전통 물리학과 관련하여 논란이 계속돼왔다. NASA는 지난 2012년 9월 이 기술이 좀 더 발전하면 기존 우주항법기술로 7만5천년 걸려야 도달하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알파 센타우리 별까지의 여행시간이 단 2주밖에 안 걸릴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바 있다.
이번 포럼에서 워프드라이브 엔진을 소개한 NASA의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EMDrive 기술은 우주의 '진공' 상태에서 테스트 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론이 아닌 실존 가능성을 두고 논란이 지속됐다”면서 “하지만 이번 테스트는 상당한 수준의 진공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