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유럽에서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지역에 살았던 전설의 동물이 있다. 바로 긴 털과 거대한 엄니를 자랑하는 털매머드다.
시베리아에서는 약 1만 년 전, 북극해의 한 섬에서는 약 3,700년 전 까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매머드는 그러나 어느순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멸종동물에 이름을 올렸다.
그간 학계에서는 매머드의 멸종 이유를 놓고 다양한 이론이 발표됐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학설은 당시 인류가 매머드를 사냥해 ‘씨’가 말랐다는 것.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운석 충돌의 영향으로 매머드가 멸종했다는 이론이 학계에서 힘을 얻어왔다. 이 가설을 세운 대표적인 학자가 캘리포니아 대학 제임스 케네트 교수.
그는 혜성 충돌의 영향으로 지구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매머드를 비롯한 거대 동물 멸종, 인류 문명이 소멸됐다는 이른바 ‘영거 드라이아스기 충돌 이론’(Younger Dryas impact theory)을 펼쳐왔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알렉산더 심스 교수 역시 약 1만 2900년 전 북미에 거대한 혜성 파편이 떨어져 매머드, 세이버투스(검치호·윗니 두 개가 휘어진 칼처럼 생긴 호랑이)등이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는 다른 각도의 연구방법으로 매머드 멸종 이유를 분석한 흥미로운 논문이 나왔다. 최근 영국 엑시터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팀은 매머드의 멸종 이유를 밝히기 위해 통계 분석을 이용했다. 그 결과 고대 인류가 각 대륙과 섬으로 퍼져나가는 것과 맞물려 그 지역에 사는 매머드가 급격히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곧 고대 인류가 매머드를 식량으로 사냥해 씨가 말랐다는 이론의 강력한 증거가 된다. 연구를 이끈 엑시터 대학 루이스 바렛 박사는 "마치 50년 논쟁에 못 질을 한 기분" 이라면서 "인류가 매머드 멸종의 주요한 원인이며 기후 변화 등은 이를 악화시킨 요인으로 보인다" 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인류가 매머드 등과 서식지를 공유하며 평화롭게 살았다는 일각의 주장은 그야말로 신화" 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