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아르헨티나 미인대회에선 '여왕'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없게 될지 모른다.
미인대회에서 군주적 단어의 사용을 금지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아르헨티나 연방하원에 발의됐다.
법안이 금기어로 지목한 단어는 미인대회에서 순위를 나타내거나 지역을 대표해 출전한 참가자를 부를 때 흔히 사용되는 여왕, 공주, 미스 등이다.
법안은 이들 단어에 왕정시대 군주적 뉘앙스가 있다며 미인대회에서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미인대회 입상자나 출전자는 'XX여왕'이나 '미스XX'라는 표현 대신 'XX대표'로 불리게 된다.
현지 언론은 "법안이 아직 본회의에 상정되진 않았지만 소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는 등 의원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법안은 군주적 표현을 금지한다는 점잖은(?) 명분을 댔지만 기본 취지는 여성의 상품화를 경계한다는 데 있다.
법안은 아르헨티나 집권여당 '승리를 위한 전선당'이 발의했다.
아르헨티나 여당 의원들은 최근 한 축제에 참석했다가 부대행사로 열린 미인대회를 참관했다. 여기에서 충격을 받은 의원들이 법안을 준비했다는 게 법안을 대표 발의한 글로리아 비데가인 의원(여)의 설명이다.
비데가인 의원은 "미인대회에서 마치 참가한 여성을 상품처럼 다루고 있었다."면서 "가축을 경매에 부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XX여왕'이나 '미스XX'라는 표현이 여성의 미모만 강조하는 표현으로 전락해 여성의 상품화를 부추긴다."면서 잘못된 문화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르헨티나에선 지난 6월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의 근절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리는 등 최근 들어 여성 인권에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비데가인 의원은 "여성에 대한 폭력은 여성을 물건처럼 여기는 데서 시작된다."며 "잘못된 문화를 고치지 않으면 근절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사진=자료사진
서울신문 나우뉴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