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물건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발명'된 이래 지금까지 여성들로부터 찬사와 비난을 한몸에 받아왔다. 여성의 굴곡진 신체적 매력을 더욱 돋보이게 도와준 발명품이라는 평가가 이어지다 현대사회에 접어들며 외모지상주의에 빠지게 만들며 여성의 신체를 억압하는 도구일 뿐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바로 문제의 '하이힐'이다.
실제 지난 5월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는 유명 여배우들이 드레스코드를 어긴 플랫슈즈나 굽이 없는 신발 또는 맨발로 레드카펫에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그런 속에서도 지난해 칸 영화제 당시 헤인즈 감독의 ‘캐롤’ 상영회 때는 하이힐을 신지 않은 여성들이 입장이 거부당한 일까지 있으니 여전히 논란의 대상임에는 분명하다. 당시 여배우들은 이를 성차별이라며 반발했다.
더더욱 분명한 것은 여권신장 속 양성평등이 대세를 이룬 사회에서 드러내놓고 하이힐을 옹호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는 사실이다. 설령 일상 속에서 개개인이 하이힐을 신더라도 하이힐이 성차별적 요소를 갖고 있음이 분명한 이상, 마냥 이를 찬양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단체가 있어 관심을 사로잡고 있다. 하이힐이 오히려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본하이힐협회(이하 Japan High Heel Association, 이하 JHA)는 매년 수강생을 모집해 하이힐의 올바른 착용방법을 교육하고, 굽이 없는 플랫슈즈가 아닌 하이힐을 신을 것을 주장한다.
이들이 여성들에게 하이힐을 적극 권장하는 것은 하이힐이 여성의 사회적 자신감과 올바른 신체적 자세를 가지는데 도움을 준다는 이유에서다.
이 단체는 6개월에 40만 엔(약 463만원)의 교육비를 받고 ‘워킹 에티켓 클래스’를 열고 있으며, 이 과정을 수료한 일본 여성은 무려 4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현지의 유명 사회평론가인 미츠코 시모무라는 “JHA의 주장은 허튼 소리에 불과하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 및 자신감과 하이힐을 신는 것 사이에는 어떤 연관관계도 없다”고 비난했다.
이에 전 발레리나이자 JHA의 고위 관계자는 AFP와 가진 인터뷰에서 “여성에게 하이힐을 신으라고 권유하는 행동은 일본 여성들의 자신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면서 “많은 일본 여성들은 자신을 스스로 표현하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일본 문화는 여성들이 스스로 가장 맨 앞에 서거나 눈에 띄는 행동을 하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이힐을 신는 행동은 여성들을 이러한 정신에서 해방시켜 줄 뿐만 아니라 기모노의 유산과도 같은 나쁜 자세를 교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의 주장에 따르면 일본 여성들은 오리처럼 뒤뚱뒤뚱 걷고 안짱다리가 심한 경향이 있다. 한국이나 중국 여성들에게서는 이런 문제를 찾을 수 없는데, 이러한 것은 모두 기모노 문화와 샌들을 질질 끌면서 걷는 습성에서 온 문제라는 것.
때문에 서양문화를 정확히 알고 하이힐을 올바르게 시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이러한 잘못된 걸음걸이와 자세를 고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JHA의 주장이다.
한편 의학계에서는 하이힐이 오히려 자세를 흐트러뜨리고 발가락의 변형 및 무릎 연골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일본·AFP=연합뉴스/ beeboys Fotolia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