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가 핥는 것만으로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영국 의학계가 경고하고 나섰다.
최근 영국에서는 개가 자기 얼굴을 핥도록 두었던 70세의 한 노년 여성이 패혈증 및 복합장기부전으로 집중 치료를 받는 사건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을 핥은 개는 여성이 기르는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종이다. 현지 의사들은 이 개의 충치 속에 서식하던 박테리아가 여성을 핥는 동안 전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성은 비흡연자였으며 술도 거의 마시지 않는 등 평소 비교적 건강한 생활을 영위했던 것으로 전한다.
패혈증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 증세와 싸우기 위해 전신에 과도한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복합적인 장기부전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으며, 조속한 치료가 없으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여성의 상태를 처음 인지한 것은 그의 친척으로, 통화중이던 여성이 돌연 흐트러진 발음으로 말하다가 말을 중단하는 것을 듣고 문제를 알아챘다고 전했다.
의료진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여성은 의자에 앉은 채 의식이 불분명한 상태였으며, 곧 병원으로 이송됐다.
검사 결과 여성이 감염된 박테리아는 캡노사이토퍼거 캐니모수스(Capnocytophaga canimorsus)였다. 이 박테리아는 고양이나 개의 주둥이 안에서 종종 발견되며 심각한 패혈증을 발생시킬 위험성을 지닌다.
여성은 2주에 걸쳐 항생 치료를 받았으며, 입원 후 30일 만에 다행히 무사하게 퇴원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과 같은 사례는 매우 드문 것으로, 영국에서는 지난 26년 동안 캡노사이토퍼거 매니모수스에 의한 패혈증 사례가 단 13회 보고됐을 뿐이다.
이들 중 60%는 개에게 물려 발생했으며, 24%는 긁힘 등 견공과의 다른 접촉을 통해 발생한 것이었다.
사례를 연구한 의료팀은 “이번 사건은 긁기나 물기 이외의 방식으로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또한 노령 때문에 면역력이 약해지며 애완동물을 더 많이 키울 가능성이 높은 노인들의 경우 특히 이러한 종류의 감염에 취약하다는 사실도 상기시켜 준다”고 전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